[일요주간=노현주 기자] 정부가 국내외에서 정보통신기술(ICT)과 관련해 대규모 수출상담회를 갖고 있지만, 실제 수출로 연결된 사례는 적어 개선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소속 윤상직 자유한국당 의원은 지난 4년 간 국내외 수출상담회와 전시회 지원을 통한 수출상담실적은 25억1772만달러(2조8261억원)로 집계됐다고 10일 밝혔다.
다만, 현재까지 실제 수출로 연결된 규모는 상담실적의 6.5%인 1억6463만달러(1847억9718만원), 이 기간 정부가 지원한 예산은 100억4000만원으로 각각 나타났다.

정부는 2015년 아랍에미리트(UAE), 영국과 프랑스,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에서 열린 정보통신방송 해외로드쇼에 8억4000만원을 투입해 471건, 1억5194만달러의 수출 상담실적을 올렸지만, 실제 수출로 연결된 사례는 없었다.
2014년 부산에서 열린 클라우드 엑스포에도 5억2000만원의 예산을 지원했으나, 899만달러의 상담실적에도 불구하고 실제 수출은 전무했다. 이듬해 클라우드 엑스포에서도 2285만달러의 상담실적을 기록했지만, 이중 0.4%인 10만달러 수출에 그쳤다.
같은 해 중국과 일본, 말레이시아에서 열린 해외 IT지원센터 수출지원사업은 5억4128만달러 상담실적에도 수출로 연결된 금액이 0.4%인 233만달러로 집계됐다.
지난해 미국, 중국, 일본 등에서 열린 정보보호산업 해외전시회 참가지원과 비즈니스 상담회와 영국, 일본에서 열린 사물인터넷(IoT) 해외 로드쇼에서도 상담실적 대비 수출 실적이 미미(2%대)헸다고 윤 의원을 설명했다.
이는 상담회 이후 후속적인 관리와 지원이 충분히 이뤄지지 않았거나 상담실적을 부풀렸기 때문이라고 윤 의원은 지적했다.
윤 의원은 “정부가 ICT 관련 수출상담실적이 좋다고 홍보하고 있지만, 상담이 실제 수출로 이어진 계약 성사율이 저조하다”며 “전문적인 역량을 갖춘 기관을 활용하고 관계부처 협의를 통해 실효성 있는 정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과기정통부는 “수출상담회에 참석하는 ICT 기업 중 중소기업이 많고 제품도 소비재 등에 비해 규모가 커 수출 성사가 상대적으로 어렵다”고 해명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