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8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5.18 진상규명 대국민공청회에서 5.18단체회원들이 항의를 하고 있는 모습. |
당시 이종명 의원은 "5·18 폭동이라고 했는데 10년, 20년 후에는 그게 5·18 민주화운동으로 변질이 됐다"고 주장했고, 김순례 의원은 "종북좌파들이 지금 판을 치면서 5·18 유공자라는 이상한 괴물집단을 만들어내면서 우리의 세금을 축내고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자유한국당 일부 의원들이 5·18 광주 민주화운동을 '폭동'으로 폄훼한 것을 두고 후폭풍이 거세지자 한국당의 곤혹스러워 하는 모습이 역력하다.
한국당 지도부는 유감을 표명하고 잇달아 입장문을 내는 등 진화에 나서고 있다.
나경원 한국당 원내대표는 10일 "5·18 민주화 운동의 역사적 의미를 높이 평가한다"며 "일부 의원들의 발언이 5·18 희생자들에게 아픔을 줬다면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나 원내대표는 전날 입장문에서 '역사적 사실에 대한 다양한 해석은 존재할 수 있다'고 언급한 데 대해선 "이미 밝혀진 역사에 대해 우리가 거꾸로 가는 것은 맞지 않다"라며 "자꾸 과거로 가는 것 같은 데 대해 안타깝다. 이미 밝혀진 역사에 대해선 다음 단계로 가야 한다"고 했다.
김병준 비상대책위원장도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유감을 표했다.
그는 '5·18 진상규명 토론회에 대하여'란 제목의 글에서 "5·18은 광주 시민만의 아픔이 아니다. 우리 대한민국 국민 모두의 아픔"이라며 "적어도 정치권만큼은 그 역사 정신을 존중하는 게 국민통합 차원에서 옳은 일"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개인적으로 못마땅할 수도 있으나 5·18은 1993년 우리 정부가 국가기념일로 지정한 이래 매년 정부 주최 기념식을 통해 여야가 함께 기념해온 사건이다. 그렇다면 적어도 정치권만큼은 그 역사정신을 존중하는 게 국민통합 차원에서 옳은 일"이라며 "조금은 오른쪽으로, 또 조금은 왼쪽으로 움직일 수는 있으나 어떤 논란이 우리 당을 과거의 프레임에 옭아매거나 그로 인해 보수통합이 저해되는 일이 일어나서는 안 된다"고 당부했다.
최경환 민주평화당 최고위원(광주 북구을, 문화체육관광위원회)은 10일 열린 긴급최고위원회에서 "자유한국당이 주최한 ‘5·18 진상규명 대국민공청회’는 현직 국회의원 다수가 참여해 신성한 국회를 유린한 극우테러였다”고 규정하며 강도 높게 비판했다.
최 최고위원은 “허무맹랑한 주장으로 사법적 심판이 내려진 지만원에게 멍석을 깔아주고 자유한국당 국회의원들은 맞장구를 쳤다”며 “극우테러로 국회의 권위는 무너졌다”고 말했다.
5·18유공자이자 5·18진상규명특별법을 대표발의한 최경환 의원은 “억지주장으로 5·18을 폄훼하는 망언을 한 김진태, 이종명, 김순례 의원은 응분의 책임을 져야 할 것이고 국회 윤리위원회는 이 의원들에게 가장 엄한 징계를 내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5·18은 폭동행위, 유공자는 괴물’이란 망발을 한 김순례 의원을 향해 “제가 나랏돈 축내는 괴물로 보이느냐”며 “김순례 의원이 사과를 하지 않고 얼버무리고 넘어간다면 저를 비롯한 5·18유공자를 모욕하고 명예를 훼손한 죄를 끝까지 묻겠다, 고소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최 최고위원은 또 ‘역사적 사실에 다양한 해석이 존재할 수 있다’고 발언한 나경원 원내대표에게도 “진정 5·18에 대해 그렇게 보고 있는 것이냐”며 “5·18은 폭동인지, 북한 특수군이 벌인 일인지, 그렇다면 광주시민들은 북한군의 부역자들인지, 전두환은 영웅인지 등에 대해 분명한 입장을 내놓으라”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사법부는 5·18 특수군 주장에 대해 허위사실 적시에 의한 명예훼손죄로 형사재판이 병합심리중인 지만원의 재판을 하루빨리 종료, 법정구속해 역사정의를 실현하고 논란을 잠재워야 한다”며 “5·18진상규명 특별법에 따라 자유한국당이 진상조사위원으로 추천한 3명의 과거 행적이 부적절해 진상조사위원이 아닌 진상조사방해위원이 될 수 있으니 청와대와 문재인대통령은 임명에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고 밝혔다.
한편 한국당을 제외한 더불어민주당과 민주평화당, 정의당은 한국당 김진태·이종명·김순례 의원에 대해 국회 윤리위에 제소키로 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