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칼럼] ‘3.1혁명’ 정명(正名)찾아 낡고 고루한 역사관 벗어날 때다.

김쌍주 대기자 / 기사승인 : 2019-02-21 10:30:36
  • -
  • +
  • 인쇄

▲ 김쌍주 대기자
[일요주간 = 김쌍주 대기자] 최근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국무총리실과 일부 정치권에서는 현재의 ‘3.1운동’이란 명칭을 ‘3.1혁명’으로 바꿔 부를 것을 제안한 바 있다.

운동이란, 사회를 개혁하려는 목적으로 단체나 집단이 벌이는 적극적인 활동을 말한다. 전 국민의 지지를 받을 수 있는 적극적인 행위를 말하는데, 일상생활에서 사회적인 사건까지 광범위하게 쓰이고 있다. 예를 들면 청렴운동, 새마을운동 그리고 광주민주화운동 등이 있다.

그러나 혁명이란, 기존사회 체제를 바꾸기 위해 국가권력을 비합법적인 수단과 방법으로 탈취하는 권력교체형태를 말한다. 혁명을 뜻하는 영어 ..레볼루션(revolution)은 변동을 뜻하는 라틴어의 레볼루티오(revolution)에서 유래했다.

혁명이라는 용어는 중국에서 제왕이 부덕하여 민심을 잃으면 덕이 있는 다른 사람이 천명을 받아 왕조를 바꾸고, 새로운 왕조를 세워도 좋다고 하는 역성형명에서 유래했다.

이러한 혁명은 지배세력과 피지배세력의 교체나 정부체제의 변화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정치조직, 사회구조, 경제 질서, 지배적인 사회질서의 전면적이고 근본적인 변화를 뜻한다.

그렇다면 당시 인구의 10분의 1 이상이 항일투쟁에 참여한 것은 세계사에 유례가 없고, 임시정부 등에서도 ‘3.1혁명’으로 불렀다는 것이 ‘3.1운동’을 ‘3.1혁명’으로 정명을 찾자는 그 이유이다.

여론조사결과 우리국민의 약 절반은 이런 개칭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대에서 찬성의견이 67.3%로 매우 높게 나타나 젊은 세대일수록 명칭변경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혁명이란 어느 날 갑자기 이뤄지는 것이 아니다, 중국의 신해혁명도 프랑스의 대혁명도 결과적으로 수십 년의 과정을 거쳐 혁명으로 완성됐다.

3.1혁명은 당시 우리조상들이 일제의 총칼 앞에서 1만5000여 명이 학살당하고 수만 명이 감옥에 가는 상황에서 완성한 것이다.

동학혁명도 처음에는 동학란으로, 광주민주화운동도 광주사태라고 불렸다. 당장 3.1혁명으로 개칭하는 것은 법적으로 어려움이 있지만, 역사는 원래 정명을 찾아가는 과정이다,

이번 3.1절 100주년을 기해 우리가 먼저 3.1운동 대신 3.1혁명으로 불러야 한다. 3.1혁명 참여자는 남녀노소 누구나 동참했다. 어떤 일을 하던 나라를 되찾겠다는 열정이 같았기에 생명을 던지는 헌신이었다.

장터마다 전국적으로 만세소리가 터져 올랐다. 전국 각지에서 전 국민이 들고 일어나 수많은 백성들이 일제의 총칼에 희생되었는데, 프랑스의 대혁명에 비해 뭐가 부족해서 3.1운동이란 말인가?

독립선언서의 세계사적인 의미를 부각하여 ‘3.1조선대혁명’ 이라 명명해야 하고, 안중근 의사도 임시정부 광복군의 공식계급인 안중근 장군으로 불러야 한다.

또한 8.15광복절도 일본군과 맞서 싸운 독립군과 독립투사들의 전쟁사가 엄존하고 상해임시정부도 엄연한 연합국의 일원임을 감안 중국과 같이 ‘8.15항일승전기념일’로 명칭을 변경해야 한다.

최근 우리사회의 국론분열 양상이 우려할 수준에 이른 것으로 보인다. 물론 어느 사회나 국론분열은 있게 마련이다. 지나치지 않을 정도의 국론분열이 존재한다는 것은 그 사회가 다양성과 상호비판이 보장되는 ‘건전한 민주사회’임을 알리는 징표일 터이다.

사회를 구성하는 계층 및 집단의 성격에 따라 다양하고 대립되는 이해관계나 견해가 있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어떤 사회가 건강하다고 진단할 때, 그것은 대립되는 이해관계를 조정하고 상반된 견해들을 관용하면서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사회적·정치적·문화적 메커니즘이 효율적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뜻한다.

이러한 조정과 의견수렴이 제대로 되지 않을 때 그 사회는 이성을 잃고 억지와 폭력이 휩쓰는 내분상태로 심한 경우 내전의 위기로까지 내몰리게 된다. 더욱이 이러한 내분을 틈타 외세가 개입할 경우 그 사회는 와해 위기를 맞거나 자신의 운명을 결정할 권리마저 빼앗기게 된다.

자신이 속한 집단의 이익을 관철시키고 반대집단을 제거하기 위해 외세를 끌어들이는 자멸적인 행위는 더 이상 용납되지 않는 여건을 만들어가야 한다.

외세의 힘을 빌려 내부의 적을 제압한 집단은 그로 인해 엄청난 대가, 심지어 나라의 주권마저 빼앗기게 된다는 역사적 진리를 다시 한 번 되새겨보아야 할 때이다. 그런 차원에서 지금이야 말로 ‘3.1운동’을 ‘3.1혁명’으로 정명을 찾아 낡고 고루한 역사관에서 벗어나야 할 때이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