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김쌍주 대기자 |
세상을 규정할 수 있는 불변의 잣대는 없다고 하는 지적이 힘을 얻는 이유이다. 관념의 과잉, 조직의 과잉, 과거의 과잉, 인연의 과잉, 공부의 부족, 겸손함의 부족, 마침내 낯선 것에 대한 두려움으로 말미암아 통찰력을 상실하고, 보고 싶은 것만 보려는 수준으로까지 들어선 것이 아닌가 하는 두려움이 들 정도다.
우리사회에서 민주주의라는 말은 이미 고전이 돼버렸다. 그러나 막상 정치의 차원에서 민주주의를 언급하면 어떤 반작용으로 돌아올 것인지에 대해 생각해보면 국민의 시대적 요구는 초점이 약간 다르다. 이미 주권의식이 강해진 우리국민은 그런 것쯤이야 다음 선거에서 심판하면 된다는 정도로 생각해서인지, 문제가 아니라 답을 내놓으라고 요구하고 있다.
답을 내놓으라는데 자꾸 문제만 떠드는 정치는 과연 어떤 정치일까? 그야말로 귀찮기 만한 소음이고 갈등유발요인일 뿐이다. 이제 우리국민들은 시대정신에 맞지 않은 계보정치, 줄 세우기 정치, 돈 정치, 선동의 정치를 끝냈으면 하고 바라고 있다.
물론 정치인들에게 묻는다면 저마다 아니라고 하겠지만, 오늘날 우리정당에는 여전히 계보정치, 줄 세우기 정치가 횡행하고 있다. 정당지도부의 누구누구와 어떤 관계를 맺었는지는 후보들의 공천여부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는 정치신인의 진출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매우 시대착오적인 구태가 아닐 수 없다. 우리정치에 시대를 선도해 달라고 하는 일은 그저 우이독경이고 마이동풍일 뿐이다. 자고 일어나면 누군가 힘 있는 사람을 모시느라 바쁜 판에 공부할 시간이 어디 있으며, 낯설고 새로운 것에 대해 공부할 열정이 어디 있겠느냐는 말이다.
그러나 우리는 다시 그 꿈을 꿀지언정 도전하기를 멈출 수는 없다. 도전과 응전의 과정을 통해 역사가 전진하리라 믿기 때문이다. 다가오는 내년 총선은 우리역사의 백년대계를 가름할 중요한 선거가 될 것이다.
따라서 무언가 우리가 원하는 방향으로 역사가 진행되기를 원한다면 낯선 이방인과 무서운 미래에 대해 직시할 용기는 무엇보다 절실한 필요조건이다. 다가가서 보고 또 한 발짝 떨어져서 보고, 더욱 면밀하고 치열하게 판단해야 할 낯선 시대의 도래를 목전에 둔 시점이 바로 지금이라면 여러분은 과연 누구에게서 어떤 것에서 그 해답을 찾을 것인가?
그게 누구인지 어떤 것인지 모르겠지만, 그 해답은 적어도 익숙한 것에서 나오는 것이 아닌 것만은 분명하다. 선거의 원칙은 너무도 간단하고 분명하다. 최고·최적의 인물을 골라내야 하고 이 과정은 최대한 합리적이어야 한다. 따라서 이를 이루기 위한 전제조건은 최대한 많은 인재에 대해 정치권 진출의 기회를 넓혀주려는 자세이다. 그래야 사람이 모여든다.
자신의 자리를 위협하는 역량 있는 인재를 반갑게 맞아들여 경쟁하는 일이 그리 쉽지만은 않을 것이지만, 이 낯섦과 두려움은 필연의 과정이다. 해답은 무엇인지 몰라도 해답을 얻기 위한 과정은 무릇 이렇게 명료하다.
같음이 아니라 다름에서 익숙한 것이 아니라 낯선 것들로부터 해답을 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버려야 이긴다.’라고 하는지도 모르겠다. 이건 경쟁이 아니라 역사발전에 대한 믿음의 문제다. 낯선 것에 대한 용기가 세상을 바꾸기 때문이다.
시대정신은 한 시대에 지배적인 지적·정치적·사회적 동향을 나타내는 정신적 경향이다. 시대정신이라는 개념의 근원을 살펴보면 독일의 철학자 요한 고트프리트 헤르더가 제시한 민족정신이라는 개념에까지 이르게 된다.
헤르더는 민족적인 정신문화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인류사를 인간정신의 완성으로 향하는 보편적 역사라고 파악하는 생각을 제시하였고, 시대의 정신을 나타내는 ‘민족의 정신’이라는 말을 사용했다.
헤겔 등 철학자들이 주창한 민족정신에서 유래된 시대정신의 개념은 오늘날에 이르러 철학적인 정의보다는 단지 그 시대에 특유의 사회적, 보편적 상식을 가리킨다. 시대정신이란, 한 시대의 문화적 소산에 공통되는 인간의 정신적 태도나 양식 또는 이념이다.
오늘날은 이 같은 철학적인 정의보다는 단지 그 시대에 특유의 사회적 상식을 가리켜 ‘시대정신’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우리시대의 지배적인 지적, 정치적, 사회적, 정신적 경향으로서의 시대정신을 결코 망각해서는 안 될 일이다. 이제 네 편과 내편을 가르는 비통합적 구태를 과감히 접는 게 시대정신이기 때문이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