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전경복 편집위원 |
대한민국에 진실하고 실제적 평등, 자유, 참정으로 가득 차 새벽 별처럼 찬란히 빛나는 인간다운 생활을 펼치는 믿는 사회와 양심을 기대할 수 없는가? 인간 형성의 핵심이 도덕과 윤리로 무장한 기본적 양심임을 까만 밤 같이 잊었는가? 작금 심신이 중단없이 쉼 없이 파열되는 통증을 느끼고 심히 감내할 뿐이다. 불치병이 되어가고 있다.
대한민국의 이 시대의 정의를 광포(狂暴)한 개인이 좌충우돌한 의견으로 호도하거나 강조해서도 안 된다. 대한민국 성립의 최초 창안자와 토의·토론자의 정신을 훼손하거나 표절하거나 도용(盜用)해서도 안 된다. 번개가 뇌성보다 먼저 반짝이는 과학적 사실을 무시하거나 간과해서도 결코 안 된다. 역사 정립은 변함없이 질서정연하다.
각 국가는 인간개혁, 자유 개혁, 사회개혁, 문화개혁, 교육개혁, 과학개혁, 세계개혁, 종교개혁 등을 힘껏 부르짖고 실행해왔다. 그 결과는 기실 어떠했는가? 그들은 잘못된 개념을 옳은 신념으로 착시하고 착각하고 청각 했다. 결국은 전통과 역사와 문화를 깨뜨리고 소멸시키고 양심을 버렸을 뿐이다. 역사와 세계사가 여실하게 증명한다.
효율적 건설과 창조적 파괴와의 진취적 관계, 미래의 희망과 과거의 공포와의 적대적 관계도 또한 마찬가지다. 교묘히 협잡을 준동해도 전혀 안 된다. 어설픈 관용을 늘어놓아서도 안 된다. 직업과 인간 생명과의 불균형을 교정해야 한다. 불일치를 철학·과학적으로 과감히 교정해야 한다. 선동자 망(亡)이고 선각자 흥(興)이다.
참선과 명상은 착시·착각 현상을 벗어나야 한다. 하극상을 감추고 양심을 운운하거나 양심선언을 팔지 말아야 한다. 자신만의 저급한 합리주의로 자신을 스스로 파멸하면 안 된다. 자유의 이방인으로 전락해서도 안 된다. 허탈하고 허망한 천국에 깊이 빠져 끝없이 방황하고 대한민국 청정지구를 이 순간부터 망가뜨려서도 안 된다.
각자가 잃어버린 자유와 참된 시간을 속히 되찾고 공산주의와 레닌주의에 미상불(未嘗不) 부지불식간에 미혹되어 소수 권력의 독점을 획책하고 가문의 영광 성(城)을 쌓아 개인의 소중한 전문적 경험을 파괴하는 노예적 행태를 완벽하게 중단해야 한다.
진실하고 사실적 자유는 험난한 강을 항상 건너야 평안한 바다를 만끽할 수 있다. 방향을 잘 설정하고 다수와 소수가 사명감으로 동시에 사유혁명(思惟革命)을 시작해야 한다. 인간이 만든 기계적 지능의 상혼(商魂)에 굴복당하는 참극을 초래하여도 결코 안 된다. 시원유명(視遠維明이다.
사회적 병리 현상을 치료하고 도색·도착된 이념을 확실히 탈피해야 한다. 민주적 절차로 포장한 부당한 교환을 강압하거나 강요해서도 안 된다. 생명력 강한 균형과 평등을 유지하고 타인의 경제적 생활을 불법을 이용하여 위협해서도 안 된다. 오만한 지식과 편협한 생각과 지나친 과신으로 일시적 부귀와 명성을 확보해서도 안 된다.
상호 간 표준에 의해 측정, 비판, 비교를 두려워해서는 안 된다. 표준을 아무렇게나 제멋대로 버무려 놓아서도 안 된다. 개인의 신비주의로 자연과 사람이 제공하는 정의로운 재료와 지성과 감성을 혼란에 빠뜨려서도 안 되고 이에 동조해서도 안 된다.
931번을 중국이 한국을 침략했다는 역사적 사실을 망각해서도 안 된다. 일본의 업보도 역시 마찬가지다. 광명의, 암울한 역사는 역사이고 냉철한 외교는 외교일 뿐이다. 역사의식을 버려서도 안 된다. 역사는 감탄고토(甘呑苦吐)의 대상이 될 수도 없다.
대한민국 정책을 입안하는 국민은 저소득 근로자와 소외계층이 행복한 삶을 누리도록 그들이 합리적 정신을 배양하는 방법과 능력을 기르게 하고 동시에 감사하는 마음을 생활화하고 일반 대중은 스스로 배려하고 희생할 줄 아는 숭고한 정신을 체득해야 하고 입안자 자신은 정책의 실패 및 미시행에 대하여 책임지는 자세와 태도를 보인다.
우리나라에서 어설픈 이념에 함몰되거나 수렁에 빠져 허우적대는 몰 인간들에게 폐부와 심장에 경종이 되는 시인을 소개하자면 바로 1930년대 대표적 시인 Wystan Hugh·Auden(1907~1973)이다. 그는 당시 사회주의적 흐름에 경도되었으나 도덕적·심리적 측면에 기반을 두고 시를 썼다. 스스로 도색(桃色) 자유주의자라고 주장한 시인이지만 공산주의에 함몰되지는 않았다. 나치즘의 독일이 폴란드를 침공한 2차 세계대전을 주제로 한 “1939년 9월1일” 제목의 시에 “서로 사랑하라 그렇지 않으면 멸망하리오(We must love one another or die) 시구(詩句)가 그들에게 시사하는 점이 매우 크다.
대한민국의 현실에 대하여 대한민국의 국민인가? 사람인가? 개인인가? 를 구분하지 못하고 개탄하는 사람이 늘어만 가고, 침묵하고, 알지 못할 경험적 이념과 단편적 지식으로 효율적 대안은 제시하지 못하고 뭉쳐서 장탄식과 아우성만 지르고 있다.
필자의 결론이다. ”사유(思惟)하고 믿음을 주어라“ 다음 “ 정성을 다하여 사랑하라.”
[필자 주요약력]
(사)한국국제언어진흥협회 이사장
(민)대한민국 일등봉사대 사무총장
대한민국 대통령경호실 혁신자문위원
중앙대학교 외국어교육원 강의교수
(사)국가공인 검정관리기관 한국외국어평가원 영어전문위원실장
THE KOREA TIMES 국제교류원 영어평가연구실장
2018동계올림픽 평창유치기원 전국학생 영어 말하기대회 심사위원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