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고자 보호·보상 제도를 지속적으로 개선·확대하여 부패행위 근절 문화조성의 기반을 마련할 것”
![]() |
▲ 지난7월 시행된 한국마사회 4대 부패 근절 실천 선언식.(사진=한국마사회 제공) |
[일요주간 = 김성환 기자] 한국마사회(회장 장기환)는 내부청렴도 제고를 위해 부패행위 신고 유공 포상제도를 신설하고 특별포상도 실시했다고 11일 밝혔다.
한국마사회는 부패행위 신고 활성화 차원에서 신고자 신분 노출을 차단하기 위해 익명 포상심의 및 포상 비공개 수여방식을 채택했다. 조직 내 부패행위는 많은 경우 혹시 모를 불이익이 우려돼 구성원들이 신고를 꺼려하는 관계로 신고자 익명성 보장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한국마사회에 따르면 지난해 임직원 대상으로 실시한 부패공익신고제도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41.1%가 신고자 보호 제고를 위해 ‘신고자 보호·보상 강화’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이러한 결과를 반영해 올해 연간 내부포상 계획에 ‘부패행위 신고 유공’ 부문을 신설했다.
이 제도에 따라 한국마사회 감사실은 연간 접수·처리된 신고 중 △피신고자의 징계 등 처분수위 △규정 개정 등 제도개선 기여도 △예산절감 및 손해보전 등의 결과를 심사해 신고 유공자를 최종 선정하고 연말 정기 포상을 실시할 예정이다.
앞서 한국마사회는 지난 7월 23일 임직원의 부패행위를 신고해 자체감사 성과 창출에 기여한 직원을 대상으로 ‘감사유공 회장 특별포상’을 실시했었다. 직무수행 과정에서 비위행위를 인지한 즉시 이를 신고하고 자체조사 과정에 적극적으로 협조함으로써 부패행위의 조기발견 및 확대 예방에 결정적인 공을 세운 직원에게 회장상 표창 및 포상금이 비공개로 수여됐다.
이러한 포상절차 전 과정에서의 철저한 신고자 신분비밀 보장을 위해 한국마사회는 포상심의를 위한 인사위원회에서 후보자의 모든 개인정보를 익명처리해 제공하고 포상 수여식은 비공개로 진행했다. 신고자에 대한 보상 뿐 아니라 신분비밀에 대한 철저한 보호를 통해 신분노출 우려로 신고를 꺼려하는 문화를 개선하겠다는 의지인 셈이다.
한국마사회는 향후에도 부패행위 신고를 통해 감사·수사 성과 창출에 기여한 직원에 대한 보상 방안을 지속적으로 추가·확대하겠다는 입장이다.
정기환 한국마사회장은 “반부패 인식 및 내부청렴도 제고를 위한 신고제도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신고자의 기여도에 대한 합당한 보상과 신분비밀 보장에 대한 확신을 심어주는 것이 중요하다. 앞으로도 신고자 보호·보상 제도를 지속적으로 개선·확대하여 부패행위 근절 문화 조성의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