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아미노산의 닭과 인삼의 환상적 만남 |
요즈음 심신을 녹다운 시킬 정도로 이른 무더위가 극성을 부리고 있다. 무더위에 포로 신세 된 신체는 단백질과 비타민 c를 과다하게 소모하고 있기에 여름철 원기 회복을 위해선 충분한 영양 섭취가 필히 요망된다.
폭염의 날씨에는 체온이 급상승하기에 인체는 이에 대한 필사적 방어작용으로 피부 주변에 더 많은 혈액을 몰리게 하여 겉은 뜨겁기만 한데, 오히려 내부 오장육부는 차가운 상태로 역전되어 혈액순환 기능의 현저히 감소로 식욕은 저하되면서 피로가 가중된다. 더위를 식힌다고 마구 찬 것을 먹으면 설사를 하기 십상인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폭군 여름철을 잘 견디게 해줄 수 있는 으뜸 보양식으로 삼계탕을 만장일치로 추천하는 데 누가 감히 반기를 들겠는가. 본래 닭과 인삼이 들어가 계삼탕(鷄蔘湯)이라 불리기도 했으나 이제는 닭보다 비싼 삼을 강조하기 위해 삼계탕(蔘鷄湯)이 보편적 음식명이 됐다. 우리 선조들이 여름철에 삼계탕을 즐겨 먹은 것은 얼마나 지혜로운 선택이었는가.
삼계탕은 소화흡수가 잘 되는 풍부한 단백질과 필수 아미노산의 보고인 닭고기와, 예로부터 만병통치의 영약으로 확인된 인삼의 환상적 만남으로 맺어진 매우 과학적 음식임이 경탄을 자아내며 거듭 입증되고 있기에 더욱 그러하다 하겠다. 우리 고유의 전통음식 삼계탕은 인삼의 각종 약리작용과 찹쌀, 밤, 대추 등 각종 오곡백과가 두루 섞인 천혜의 영양식인 것이다.
인삼에 포함된 사포닌은 스트레스, 피로, 우울증, 심부전, 각종 순환기 장애에 치유 효과가 탁월하다. 동의보감은 "마늘은 강장제 구실을, 밤과 대추는 위를 튼튼히 하며 빈혈을 예방하는데 경이적이다"라고 적고 있다.
또 "율무는 당뇨를 차단하며 은행은 기가 허할 때 약해지기 쉬운 폐를 보호하고, 까만 깨는 동맥경화를 막아준다"라고 기술하고 있으니, 본격적 하계를 맞아 닭들의 대수난에 치킨 애가(哀歌)를 불러야 할 판이 되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