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현정 칼럼] 점입가경 ... 블랙리스트 논란

기현정 논설위원 / 기사승인 : 2017-09-27 13:05:09
  • -
  • +
  • 인쇄
가열되는 새 정부의 블랙리스트 논란

[일요주간 = 기현정 논설위원] 요즘 블랙리스트 논란이 갈수록 점입가경이다.


▲ 기현정 논설위원

블랙리스트가 우리에게 익숙하게 들리게 된 것은 박근혜 정권때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파문으로부터라고 하겠다. 당시 정권에 대해 비판적이고 비협조적인 문화예술계 인사들의 명단을 만들어 여러 가지 면에서 불이익을 주고, 심지어는 정상적인 활동까지도 못하게 만들기도 했던 일종의 살생부같은 것이다.


이를 지시하고 관여했던 사람들은 지금 대부분 영어의 몸이 되어 죄값을 치르고 있는 중이다. 그런데 이 지겨운 리스트 문제가 박근혜 정권으로 끝난줄 알았는데 문재인 정권에서는 이명박 정권으로 거슬러 올라가 온갖 문화예술계 인사들이 블랙리스트에 올라 불이익을 받았다는 인터뷰가 줄을 잇고 있고, 생전 듣도 보도 못한 화이트리스트 명단도 항간에 회자되고 있단다.


사실 박근혜 정권에서 블랙리스트를 만들어 문화예술인들을 관리했다는 보도를 처음 접했을 떼는 무능한 정권이 불량하기까지 하다는 생각에 분노가 치밀었던 것이 사실이다.


보통 우리 시민들 입장에서야 언론에 잠깐 보도된 것 말고는 그 사람들이 얼마나 탄압을 받았는지 불이익을 받았는지 알 길은 없다.또 불이익을 받았다는 인사들이 당시 본인들의 활동이 여의치 못했다면 그것이 꼭 정치적으로 관련된 것인지 아니면 자신들이 활동하는데 있어서 스스로 부족한 점이 없었는지를 더 고찰해 봐야 할 것이다. 남의 탓만 하지 말고 내탓이 아닌지 먼저 점검해봐야한다는 말이다.


현재 거론되는 인사중에 문성근씨 같은 경우야 사실 노무현 정권 이후에는 예술인이라기보다는 정치인이라고 하는게 맞을 것이고 정치인이라면 정권을 잃게되면 야당 정치인의 처지가 된 것으로 생각하면 맞을 것이다. 김미화씨도 인터뷰하는 걸 보면 이명박 정권에서 엄청난 탄압을 받은 것처럼 말하는데 2009년 당시에 대통령 표창장 받은 사진을 보면 실소를 금할 수 없다. 과거에 대중에게 즐겁고 편안한 웃음을 주는 개그우먼일 때가 그립다.


김규리씨 같은 경우도 광우병 사태 당시 자신의 홈피에 “광우병 소뼈를 수입하느니 차라리 청산가리를 입안에 털어넣는게 낫겠다”고 써서 일약 개념있는 연예인으로 등장하게 됐는데 그 뒤에 미국산 소고기는 수입됐고 아직까지는 아무 문제없이 다들 잘 사먹고 있는데 청산가리를 입에 털어넣었다는 보도는 본 적은 없다.


그 외에도 다수 문화 예술계 인사들의 이름이 대표적으로 거론되는데 여기서 그걸 일일이 거론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이들이 완장찬 사람마냥 구는 걸 보면 정권이 바뀌기는 바뀌었나부다 싶다.


박근혜 정권 당시에 블랙리스트 파문은 확실한 범죄행위로 느껴지는 반면 현재 거론 되는 블랙리스트 논란은 왠지 정치보복이라는 느낌이 드는 것은 과연 필자만의 생각일까?


탕평을 넘어 대탕평으로.


사실 보수건 진보 정권이건 형태를 달리 했을지는 몰라도 일명 블랙리스트라는 것은 사실상 만들어 졌을 것이 틀림없다. 그래서 정권이 바뀌면 블랙리스트는 화이트리스트가 되고 화이트리스트는 블랙리스트가 될 것이다. 그리고 거기에 거론된 인사들은 또 자신들이 지난 정권에서 엄청난 탄압과 불이익을 받았던 정의의 사도요 민주화의 화신인양 설쳐 댈 것이 틀림없다. 우리는 언제까지 이런 미개한 짓을 반복해야 하는지 참으로 개탄스럽다.


나는 주변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개인적인 인품에 대해 좋은 이야기를 많이 들었다.


그래서 이 정권에서는 지금 논란이 되고 있는 블랙리스트 같은 유치한 정치적 보복이 되풀이 되지 않을 것으로 기대를 했었다. 그런 기대는 역시 이번 논란을 보면서 물거품이 된 느낌이다. 적폐청산이라는 이름으로 또 다시 정치보복이 되풀이되고 있는 것이다. 나는 적폐청산이러는 것이 과거의 잘못된 관행, 법과 제도, 정책등을 폐지하고 고쳐서 새로운 미래를 지향하는 것으로 생각했다. 그러나 결국은 인적 보복으로 흘러가는 것을 보면서 참으로 실망스럽기 그지없다. 이런 식이라면 또 다른 정권이 들어서면 같은 일이 반복될 것이다.


한술 더 떠 새 정부 들어 임명된 장차관을 비롯한 일부 고위 공무원들이나 친 정부 성향의 학자, 언론인들은 자신들의 출세를 위해 이러한 보복성 적폐청산을 부추기는 언동을 서슴치 않을 것이 뻔하다. 서로 경쟁적으로 이를 주장하는 충성경쟁이 치열해 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무엇이 우리 미래에 국가와 국민들에게 도움이 되고 역사에 어떻게 기록될 것인지는 아무 관심이 없다.


늦었지만 이제라도 우리의 이러한 미개한 문화를 청산해야 할 때가 왔다고 본다.


소외되었던 특정지역 인사를 전략적으로 기용하는 협소한 의미의 탕평인사를 넘어 잘못된 제도와 법, 정책, 관행들을 모두 고치되 인적으로는 모두를 용서하고 포용하는 그러한 대탕평을 실시할 수 있는 통 큰 정권을 한번 보고 싶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