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원 1급 발암물질 '라돈' 검출..."상위 5곳 강원도에 소재"

구경회 기자 / 기사승인 : 2018-05-08 13:51:13
  • -
  • +
  • 인쇄
신창현 의원 "전국 4700여개 유치원 중 권고 기준치인
148베크렐 초과한 유치원 총 225개 확인돼" 우려 제기
신창현 더불어민주당 의원
신창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사진=신창현 의원실)

[일요주간=구경회 기자] 최근 세계보건기구(WHO)가 1급 발암물질로 규정한 ‘라돈’이 일상 생활에서 노출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온 이후 논란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라돈 농도 권고 기준치를 초과하는 유치원이 200곳이 넘는다는 통계가 집계돼 학부모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8일 신창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입수한 ‘2017년 전국 국공립단설?병설 유치원별 라돈 측정 결과’에 따르면 전국 4700여개의 유치원 중 권고 기준치인 148베크렐을 초과한 유치원은 총 225개로 드러났다.


이중 라돈 권고 기준치를 초과한 유치원이 가장 많은 지역은 강원도로 상위 5개 유치원이 모두 강원도 소재 유치원으로 나타나 결과가 특히 주목된다.


강원도 조사 대상 유치원 261곳 중 30%가 넘는 99곳에서 기준치를 초과했다. 전국에서 라돈 농도가 가장 높은 유치원 또한 강원도 태백에 위치한 미동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이었으며, 이곳은 무려 기준치의 14배에 달하는 2034베크렐을 기록했다. 이어 통리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은 1793.3베크렐, 당림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은 1485.6베크렐 등 기준치의 10배를 훌쩍 넘었다.


신 의원은 "병설유치원의 경우 유치원 측정값이 아닌 초등학교 측정값으로 기준이 정해져 있어 유치원 측정값에 맞춰 측정시 더 많은 유치원이 기준치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특히 강원도 지역에서 기준치를 훨씬 초과한 라돈이 검출된 이유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진 바가 없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교육부 관계자는 <일요주간>과의 통화에서 “국회의원 자료요청에 따라 자료를 제공했기 때문에 결과에 대해 틀림은 없을 것”이라면서 “보통 분석까지는 어렵고 현황만 파악하는 형태로 제공한다”고 전했다.


교육부는 지난 2016년 9월1일 개정된 ‘학교보건법 시행규칙’에 따라 전국 모든 학교와 유치원을 대상으로 라돈 점검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병설유치원의 기준은 초등학교 측정값으로 맞춰지고 있고, 사립유치원의 경우 결과가 취합조차 되지 않아 관리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다는 지적이 따른다.


이에 신 의원은 "유치원생들에게 라돈은 더욱 치명적"이라면서 “교육부는 병설유치원 등도 필수 측정 장소로 지정하는 등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유치원 라돈 관리 대책 마련에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