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칼럼] 괴멸의 늪으로 빠져드는 한국의 보수 정당

김도영 편집위원 / 기사승인 : 2018-07-16 12:36:28
  • -
  • +
  • 인쇄

▲ 김도영 논설위원
[일요주간 = 김도영 논설위원] 제7회 6.13 전국 동시 지방선거 및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 민심의 선택은 집권 여당의 압승으로 끝났다.

이번 선거는 유권자가 후보자의 능력이나 정책을 보고 선택하기보다는 이명박. 박근혜 정부의 부패한 정권에 혐오를 느끼고, 또한 보수정치권이 정치적 실패에 대한 책임지는 모습은 찾아볼 수 없고 치열한 계파 간 대립과 자신들의 안위에 급급한 태도에서 진정한 보수 유권자 들도 등을 돌렸던 것이 참패의 원인이다.


지방선거 이후에도 보수정당은 제대로 변화된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고, 고작 당 사무소 옮기고 당명을 바꾸는 것마저도 당내 갈등으로 치닫고 있어 좀처럼 괴멸의 늪에서 헤어 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국민을 외면한 정당에는 기회를 주지 않는 다


정치권력의 형태는 견제와 균형이 잘 조화되어야 국가가 안정적으로 운영된다. 우리나라는 국정운영의 틀이 진보성향으로 갖춰지고 70% 넘는 국민 지지를 받으면서 과거 보수정권에 강력한 적폐 청산을 하고 있다.


그런데 보수를 자처하며 국정운영에서 실패했던 정당이 6.13 지방선거에서 참패하고도 반성과 쇄신은커녕 기본적으로 지켜 내야 할 이념적 가치와 정체성마저 흐트러져 국민 앞에 이렇다 할 대안을 내놓지 못하는 정당으로 몰락하는 것 같다.


지금 같아서는 앞으로 2년 후 21대 국회의원을 선출하는 총선거에서 보수정당이 차지하는 의석 비율이 과연 얼마가 될지 의문이다.


그들이 진정한 우파 정당으로 보수주의 유권자에게 다가가 다시 지지를 호소해 볼 미련이 있다면 국민 대다수가 원하는 한반도의 비핵화, 남북정상회담, 북미 정상회담 등 국가 미래가 걸려있는 중요한 현안에 정치적 이해득실을 떠나 협력의 지혜를 모으는 노력이 있어야 그동안 지지했던 국민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다.


우리 정치에서 지역주의 문제는 민주화와 국민 통합을 가로막는 최대 변수였다 그동안 정치인들은 지역주의 정당 체제에서 정치적으로 지역갈등을 부추겨 특혜를 받아 편하게 정권을 유지하게 된 것이 오늘에 이르렀다. 그러나 이제는 유권자의 인식이 성숙해졌고, 세대가 교체되면서 지역이나 정당만 보고 표를 주지 않을 것이다.


우리는 몇 번의 부끄럽고 후회가 남는 선택을 했다. 이러한 경험에서 정치의식은 조금씩 성장해 왔고 이번 6.13 지방선거를 통해서 국민이 더 이상 정치권력의 뜻대로 움직여 주지 않는다는 걸 여실히 보여줬다.


그러한데도 보수정당의 기득권자들은 민심을 외면하고 이 정부 정책에 비판과 발목잡기에 온 힘을 쏟는 모습이 안타깝기만 하다. 이제는 과감한 정책 비전으로 패배를 딛고 일어서는 모습으로 변해야 할 때다.


우리 국민은 오만에 빠져있는 정권이나 정당에 따가운 심판을 내릴 수 있을 정도의 정치의식을 가지고 있다.


정부나 집권 여당에서도 승리에 도취해 있지 말고 겸허한 모습으로 국민이 최악으로 가지 않기 위해 차악을 선택한 것임을 마음속 깊이 받아들이고 국민들의 선택이 최선의 선택이었음을 실천으로 보여주기 바란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도영 편집위원

오늘의 이슈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