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요주간=구경회 기자]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 근거가 된 삼성바이오로직스(이하 삼바)의 기업 가치가 증권사 리포트를 짜깁기해 평균을 낸 근거 없는 자료를 바탕으로 산정됐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21일 오후 열린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2016년 12월 국민연금이 국회 국정조사위원회에 제출한 ‘제일모직 및 삼성물산 적정가치 산출 보고서’를 공개했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딜로이트안진 회계법인(이하 안진)과 삼정KPMG 회계법인(이하 삼정)은 제일모직이 보유하고 있는 삼바의 가치에 대해 각각 8조9360억원, 8조5640억원으로 평가했다.
이는 2015년 4~5월 사이에 작성된 일부 증권사의 리포트를 참고해 평가된 것이라는 게 박 의원의 지적이다.
안진은 최근 1개월간 증권사 리포트의 평균값에 최근 2개월간 증권사 리포트 평균값을 더한 다음 가장 최근일의 증권사 리포트를 더한 평균값에서 제일모직 바이오부문 평가결과를 더하는 등의 방식으로 삼바의 가치를 8조9360억원으로 평가했다.
또 삼정은 6개 증권사의 리포트자료를 평균한 값 5조5920억원에 제일모직 바이오부문 평과결과인 2조 9723억원을 더해 삼바의 가치를 8조5640억원으로 산정했다.
이에 대해 박 의원은 “보고서를 보면 HMC투자증권은 삼바의 평가가치를 9조원대로 평가한 반면 하나대투증권 등은 3조원대로 평가하는 등 편차가 심하다”며 삼바의 기업 평가가 근거 없는 자료로 만들어졌다고 꼬집었다.
이어 그는 “회계사들은 이 같은 가치평가는 말도 안된다고 생각하고 있다”면서 “증권시장에 떠도는 증권사 리포트를 초등학생도 할 수 있는 단순한 더하기 나누기 등을 통해 산정하는 것은 해괴한 일”이라고 강력 비판했다.
아울러 박 의원은 “문제는 이 같은 근거 없는 자료를 바탕으로 한 삼바의 가치가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 근거가 됐다는 점”이고 지적했다.
그러나 김용범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증권사 리포트를 평균내서 가치 평가를 한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면서 “증권사 리포트는 애널리스트들이 기업 가치를 평가하는 보고서로 법적책임은 없다”고 말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