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칼럼] 수학여행비 100~446만원…위화감·상처 남길 우려

김쌍주 / 기사승인 : 2018-09-21 09:31:00
  • -
  • +
  • 인쇄
김쌍주 대기자
김쌍주 대기자

[일요주간 = 김쌍주 대기자] 최근 외국으로 수학여행을 가는 초·중·고가 늘어남에 따라 관련비용부담도 커지고 있는 것에 대해 ‘교육당국의 철저한 지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계속 나오고 있다.


흔히 영화에서 보듯 조폭들이 우르르 몰려가 힘없는 약자에게 폭력을 행사하기도 전에 위화감은 이미 조성된 것이나 마찬가지다. 이 같은 위화감은 지하세계의 폭력보다도 멀쩡한 제도권에서 더 많이 발생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19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김해영 의원이 교육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6년부터 올해까지 수학여행비가 학생 1명당 100만원을 넘은 경우는 97개 초·중·고교에서 총 184건이었다. 초등학교가 26개교(49건), 중학교가 9개교(17건), 고등학교가 62개교(118건)였다.


수학여행비가 400만원을 넘어 웬만한 국립대 등록금과 맞먹는 학교들도 있었다. 이중 수학여행비가 학생 1인당 200만 원대였던 학교는 18개교(27건), 300만 원대였던 학교는 9개교(20건)였다.


세종의 한 특수목적고와 경기의 한 특목고는 각각 2016년과 2017년 수학여행비가 학생 1인당 446만5천원과 425만원이었다. 이는 올해 30개 국·공립대 등록금 평균(419만5천500원)보다 비싼 것이다.


자녀를 키우는 학부모라면 누구나 알겠지만 친구들은 다 가는데 자기만 안 가면 기분이 어떻겠는가. 많은 부모들이 수학여행비가 가격 면에서 너무 심하다는 여론이다. 형편이 어려운 가정은 아이들하고 상의해 안 가는 쪽으로 한 것 같지만, 그것보다는 경제적 부담 때문에 안 가는 경우가 훨씬 많다고 한다.


또 거기다 수학여행을 다녀온 아이들은 다녀온 얘기를 하느라 한 쪽에서 얘기를 할 거고, 못 간 애들은 그런 얘기에서 빠질 수밖에 없다. 그럴 경우 못간 아이들에게는 평생을 갈 수 있는 상처가 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교육부가 철저히 지침을 만들어야 한다.


고액 수학여행으로 학생들 사이에 위화감이나 상처를 남긴다는 지적이 매년 반복되고 있지만, 제대로 개선이 이뤄지지 않고 반복되고 있는 실정이다. 수학여행 시 저소득층을 배려할 방법에 대해서 당국의 확실한 대책이 필요한 이유이다.


지금 대학등록금에 대해서도 1년에 물가 상승률의 1.5% 이상은 못 올리게 돼 있는데, 수학여행비도 20만 원 안팎은 넘을 수 없게 기준을 만들어야 한다.


교육부가 20만 원 이내 정도의 비용으로 국내 수학여행을 권고해 안전하고, 교육적으로 다녀올 수 있도록 적극 보장해야 한다. 이런 현상이 야기되고 있는데 수학여행을 못 간 학생들에게 자율학습을 시키거나 청소를 시키는 경우도 있어 논란은 더욱 커지고 있다.


오래된 얘기지만 초·중·고교의 무상급식, 무상 교복 지원제도의 도입취지도 결코 이와 무관하지 않다. 시끄러웠던 사회적 화두 하나를 겨우 진정시키고 나면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아무리 그래도 그렇지. 초·중·고학생들 수학여행비 견적이 100~400만 원 이상을 넘는 귀족학교와 학교운영위원회의 발상을 아무리 이해하려고 해도 이해할 수가 없다. 이는 위화감 정도가 아니라 어린 아이들에게 평생 상처로 남게 할일이다.


그런가하면 최근 특목고 다니는 학생들 과외비는 더 충격적이다. 주2회 수업에 한과목당 100만원이 넘는다고 한다. 상황이 이러하다보니 결혼을 기피하거나, 결혼한 부부가 자녀를 갖지 않으려는 현상마저 대두되고 있는지도 모를 일이다.


교육당국은 수학여행비 등 교육관련 비용을 둘러싼 부정이 끊이지 않고 있는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는 사실을 직시하고, 청와대나 국무총리실 또는 감사원 차원의 철저한 감사가 요구된다. 없는 것도 억울한데 교육현장에 난무하고 있음이 현실이다. 이런 일들이 재발되지 않도록 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