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요주간=구경회 기자] GMO(유전자변형) 식품의 유해성 여부를 놓고 논란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에서 지난 8월31일 GM감자 안정성 승인을 한 것으로 드러났다.
유전자변형 DNA가 남아 있는 GMO는 기존 대두, 옥수수, 면화, 카놀라, 사탕무에 감자까지 추가돼 7종이 되고 이르면 내년 2월부터 미국산 GM감자가 수입될 예정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일본에 이어 세계 2위의 GMO 농산물 수입국이지만 GMO 표시가 제한적이어서 소비자가 GMO 포함 여부 확인이 쉽지 않은 상황에서 GM감자가 수입될 경우 국민 안전에 큰 위협을 끼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 김현권 의원과 시민단체인 GMO반대전국행동은 지난 16일 기자회견을 열고 국민 안전을 외면하는 식약처의 GM감자 승인을 규탄했다.
이들은 "GMO 안전성에 대해서는 그 누구도 답을 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아직까지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시점에 누구나 쉽게 방문하는 패스트푸드점에서 본인도 모르게 GMO를 섭취할 수도 있는 상황이 펼쳐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대책 없이 GM감자를 승인해 국민 안전에 큰 위협을 끼쳐버리는 더 큰 잘못을 저지른 것"이라며 "지금이라도 GM감자 승인을 취소하고 관련 법안이 마련될 때까지 승인을 보류해야 한다"고 식약처의 GM감자 승인을 강력하게 규탄했다.
김현권 의원은 "GM감자는 주로 패스트푸드점의 감자튀김 재료로 사용될 것으로 보인다"며 "패스트푸드점 등 식품접객업소는 GMO 표시 의무가 없기에 패스트푸드점에서 감자튀김을 먹는 국민들은 감자튀김이 GM감자로 만든 것인지 알 수가 없다. 내가 먹는 것의 원재료가 무엇인지 알 수가 없는 비극적인 상황이 펼쳐지게 된다"면서 문제의 심각성을 제기했다.
이와 더불어 GMO표시제 강화라는 대통령 공약을 더 이상 미루지 말고 즉각 실행할 것을 촉구했다.
그는 또 "21만6886명의 국민이 청와대 국민청원을 통해 GMO 완전표시제를 촉구했다. 청와대는 가격상승 우려라는 형편없는 답을 내 놓은 것으로 그칠 게 아니라 지금이라도 서둘러 GMO완전표시제를 시행해 본인들의 공약을 허언으로 만들지 않기를 바란다"고 지적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