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칼럼] 미세먼지, 이제 환경을 바꿔야 한다

김쌍주 / 기사승인 : 2018-12-13 09:27:56
  • -
  • +
  • 인쇄
김쌍주 대기자
김쌍주 대기자

[일요주간 = 김쌍주 대기자] 정부가 잇단 미세먼지저감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국민들의 반응은 싸늘하기만 하다. 미세먼지는 여러 가지 복합한 성분을 가진 대기 중 부유물질을 말한다. 자동차의 배기가스, 도로주행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와 담배연기나 연료의 연소 시에 생성되는 초미세먼지가 있다.


호흡기 및 심혈관계질환의 발생과 관련이 있는 초미세먼지, 개인은 이 미세먼지를 예방하기 위해 미세먼지에 좋은 음식을 먹거나 황사마스크를 착용하는 등의 노력을 하고 있다. 하지만 개인이 미세먼지에 대한 예방을 한들 환경을 바꾸지 않으면 개인의 노력은 무용지물이 된다.


미세먼지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정보를 신속하게 전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다. 언제 미세먼지를 조심해야 하는지, 국민들은 재빠르게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미세먼지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시키기 위해서는 예·경보관리시스템이 제대로 구축되어야 한다.


그러나 황사나 미세먼지로 인한 고통이 심각하지만 정부의 측정과 예보는 여전히 국민들의 성에 차지 않는다. 그러다보니 결국 민간업체가 나서서 정부보다 훨씬 많은 측정망을 깔고 실시간 상황을 전달하겠다고 나서 미세먼지 분야에서도 본격적인 민관경쟁시대가 열린 것이다.


흔히 미세먼지를 죽음의 먼지 또는 은밀한 살인자라 일컫는다. 날로 심각해지는 미세먼지로 인한 공기 질 악화는 재난수준이 돼버렸다. 특히 우리나라 전체 미세먼지 가운데 70%가 중국에서 유입되는 미세먼지라고 하는데 원천 봉쇄할 수 없는 상황이다.


정부에서 할 수 있는 것은 미세먼지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고 국내미세먼지를 조절하는 것이 그나마 최선이자 최후의 방법인데, 이마저도 사실 쉽지 않은데다 미세먼지측정소의 부적정성으로 실효성이 떨어지다 보니 민간기업이 나선 것이 아니겠는가.


공포의 존재인 미세먼지로부터 우리의 삶을 어떻게 지켜나갈 것인지는 국민적 초미의 관심사가 됐다. 현재 환경부가 전국에 설치한 미세먼지 측정소는 360개 정도이나 설치개수, 설치장소의 부적정으로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초미세먼지 농도측정을 고공에서 채집하는 관계로 지상에 낙하하는 농도와는 차이가 날 수 밖에 없다. 15m 높이 측정소에 설치된 것과 지상의 도로변에서 실제 마시는 공기 질과는 차이가 클 수밖에 없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어느 국민이 정부의 발표를 믿겠는가.


이에 민간기상업체가 통신사와 제휴해 공중전화박스, 통신기지국 등 전국 2000여 곳에 측정기를 설치해 더욱 정확한 미세먼지 농도측정이 가능해졌다는 소식이다.


정부를 비롯한 공공부문의 비전문성, 비효율성, 비대화의 극복은 어느 정권이든 최대의 숙제가 아닐 수 없다. 합리적 국가운영을 위한 페러다임의 대전환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정치가 표류 중이라 이마저도 요원해 보인다.


차지에 국회와 정부는 날로 심각해져가고 있는 미세먼지로부터 국민들이 안심하고 살 수 있도록 꾸준히 미세먼지저감대책 마련이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민간기업의 미세먼지 예·경보관리시스템이 효과를 볼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