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체국 홈페이지 갈무리. |
[일요주간 = 김완재 기자] 우체국에서 보이스피싱 피해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올해 7월까지 발생한 피해액이 111억 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한 해 발생한 70억 원보다 1.58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민형배 의원(더불어민주당)이 우정사업본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7월까지 발생한 보이스피싱 피해는 431건으로 피해액은 111억 2800만 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 |
▲최근 4년 간 연령별 보이스피싱 발생 건수 및 피해 금액.(자료=민형배 의원실 제공)) |
우체국 보이스피싱 피해액은 지난 2019년도에 254억 원에 달했다가 이후 2020년 103억 7600만 원을 기점으로 2021년과 2022년에도 각각 90억 8600만 원과 70억 2400만 원으로 점차 감세 추세를 보였으나 올해 피해액은 이미 전년도 보다 41억 400만 원가량 많다.
보이스피싱 피해자 연령대는 60대 이상이 절반 가까이 차지했다. 올해 7월까지 70대 이상이 39건(26.6%)의 보이스피싱을 당해 29억 6300만 원의 피해를 입었다. 60대도 112건의 보이스피싱으로 23억 9400만 원을 손해 봤다. 두 연령대가 차지하는 비중은 48.1%에 달한다.
![]() |
▲우체국 보이스피싱 피해 현황.(자료=민형배 의원실 제공) |
민형배 의원은 “점차 고도화, 지능화되는 보이스피싱에 안전지대는 없다”며 “고령층 피해 예방 등 연령별 맞춤 정책 도입, 비대면 채널 보안 강화 등 제도 정비로 시민재산 보호에 만전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 강조했다.
한편 올해 우체국 보이스피싱 피해구제 전담 인력은 7명이다. 2019년에 비해 3명 줄어들어 인력 충원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