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휘 "지난해엔 고전압 배터리 케이블 화재 두 건 발생...대형사고 날뻔"
![]() |
▲ 우체국 CI. |
[일요주간=임태경 기자] 우체국이 우편 사업용으로 운영 중인 친환경 전기차량 절반 가까이에 안전장치가 제대로 설치돼 있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 집배원들의 안전에 빨간불이 켜졌다.
지난 8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이상휘 국회의원은 우정사업본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우체국이 사용하고 있는 친환경 전기차량 1491대 중 절반에 가까운 688대 차량에 에어백 등 안전장치가 설치되지 않아 집배원들이 사고 발생 시 위험에 노출돼 있다고 지적했다.
우체국은 지난 2018년 집배원의 이륜차 사고로 인한 안전 문제를 해소하고 탄소배출을 줄이기 위해 125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우편배달용 초소형 전기차 도입 사업을 시작했다. 우체국은 당초 2018년 1000대, 2019년 4000대, 2020년 5000대 등 총 1만 대를 도입할 예정이었으나 집배원들의 반대로 현재 도입 대수는 1491대에 그치고 있다.
기존 이륜차는 골목을 다니기 편하고 거리에 잠시 정차 후 배송이 가능한 데 반해 4륜 전기차는 주차 문제로 인한 배송의 효율성이 떨어져 집배원들이 전기차 도입을 강하게 반대하는 이유이다.
현재 우체국이 2019년 도입해 운행 중인 다니고3(37대), 마스터밴(431대), D2C(220대) 등 3개 모델 688대는 모두 에어백이 설치되지 않은 모델이다. 특히 세 차량 중 마스타밴과 D2C 차량은 ABS 시스템도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에어백은 사고 발생 시 충격으로부터 운전자를 보호해 주고 ABS 시스템은 운전자가 미끄러운 노면에서 급브레이크를 밟을 때 바퀴가 잠기는 현상을 방지해 주는 모두 운전자의 안전과 직결되는 중요한 장치다.
한편 지난해 5월과 6월에는 마스타밴 차량의 고전압 배터리 케이블에서 화재가 발생하기도 했다. 물론 배터리 문제로 인한 화재는 아니었지만 배터리와 연결된 케이블에서 발생한 화재로 자칫 배터리 폭발까지 야기할 수 있는 아찔한 사고였다.
이상휘 의원은 “탄소 배출을 줄이고 에너지 효율성이 높은 전기차를 우편 물류 운송에 적극 활용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중요한 것은 집배원들의 안전문제”라면서 “우정사업본부는 안전장치 미장착 차량에 대한 안전장치 추가 장착문제를 검토하고 향후에는 안전장치 미장착 차량을 도입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배터리 케이블 화재 발생 시 만약 불이 배터리로 옮겨졌으면 큰 사고로 번졌을 가능성이 있다”며 “배터리가 장착된 전기차량에 대한 안전문제도 다시 한번 점검할 것”을 주문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