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민주노총 전국택배노동조합 CJ대한통운 택배 노동자들이 31일 오후 서울 중구 CJ대한통운 본사 앞에서 CJ대한통운을 규탄하며 손피켓을 붙이고 있다.(사진=뉴시스) |
[일요주간 = 김완재 기자] 민주노총 전국택배노동조합(택배노조) CJ대한통운본부의 총파업이 일주일 넘게 이어지면서 장기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28일 기준 CJ대한통운의 택배물량은 920만개였으며, 이중 880개는 정상 배송됐지만 40만개가 파업으로 배송되지 못했다. 이는 전체 물량의 5% 수준으로 CJ대한통운 대리점연합은 하루 평균 약 40만개 정도의 배송 차질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CJ대한통운 총파업에 참여한 인원은 노조 추산 1650명, 사측 추산 1400~1500명으로 전체 2만여 직원 중 5~7% 수준이다. 파업 참여자가 높은 성남, 부산, 울산, 창원, 광주, 대구 등의 일부대리점이 신규 물량 접수를 중단했다. 하지만 이들 대리점에 13만개의 택배가 추가로 접수돼 30일 현재 파업으로 배송되지 못한 택배는 53만개인 것으로 집계됐다.
현재 민주노총 CJ대한통운 노조는 사회적 합의에 따른 택배비 인상분을 공정하게 분배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택배노조는 택배기사들의 과로사 방지 등을 위해 마련된 사회적 합의에 따라 택배요금을 170원 인상했지만 사측이 이중 50원가량만 택배기사들을 위해 쓰고 나머지는 사측 이윤으로 챙기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사측은 통상 수수료 배분 방식에 따라 택배요금 인상분의 절반이 이미 택배기사들에 수수료로 배분된다며 오히려 택배노조가 정상적인 경영활동을 방해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여기에 택배기사와 직접 고용 관계가 아니니 교섭할 일은 없다는 원론만 반복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당장은 배송 차질이 크지 않지만 이달 말 설 연휴를 앞두고 있어 긴장하는 눈치다. 연휴가 다가올수록 선물 배송 물량이 늘어날 수밖에 없어 파업에 따른 타격도 커질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현재 택배 요금 인상분 사용처와 당일배송 내용 등이 담긴 표준계약서 부속 합의서 등 파업 이유를 둘러싼 노조와 CJ대한통운 간의 입장차가 좀체 좁혀지지 않고 있디"면서 "파업 장기화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