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명절 허리건강 지키는 법칙은 ‘10분’

노금종 / 기사승인 : 2011-01-25 16:19:23
  • -
  • +
  • 인쇄
설 명절이 며칠 남지 않았다. 이에 명절 선물을 사고, 음식의 재료들을 준비하는 등 명절을 맡기 위한 움직임이 바쁘다. 그러나 설 명절이 누구나, 언제나 즐거운 것은 아니다. 스트레스와 고된 육체노동으로 인해 명절증후군에 시달리는 이들도 적지 않다.

남성과 여성은 설 명절에 각기 다른 명절 증후군을 보낸다. 남성들의 경우 고향집에 내려가기 위해 오랫동안 운전을 함으로써 장거리 운전으로 인해 허리와 무릎에 통증을 호소할 수 있다. 또한 여성들은 음식을 만들고 설거지를 하게 되면서 허리와 목에 통증을 호소하게 된다.

안세병원 임정환 원장은 “남성들과 여성들 각기 다른 부위에 통증이 나타나는데, 이에 각각의 통증이 유발되는 부위를 한 시간에 10분씩 쉬게 해주는 것이 좋다”고 조언한다.

예를 들어 남성들의 경우 운전을 할 때에 교통체증으로 휴게소도 들리지 않고 계속해서 운전을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런 행동은 허리와 무릎 건강에 매우 좋지 않은 방법이다. 한 시간에 한 번 정도는 휴게소에 들러 다리를 곧게 펴고 손가락을 발끝에 닿게 하는 등의 스트레칭을 하도록 한다.

운전을 할 때에는 허리에 가능한 부담이 가지 않는 자세가 좋다. 구부정하고 허리에 잔뜩 긴장된 자세로 운전을 하게 되면 통증이 더욱 빨리 유발될 수 있어 엉덩이를 좌석 깊숙이 들인 뒤에 등받이를 90도 가까지 세우도록 한다.

여성들은 전을 부치는 등의 가사노동을 하다보면 몇 시간씩 앉거나 서서 일을 하게 된다. 특히 쪼그려 앉아서 일을 하게 되면 척추에 가해지는 부담이 서 있을 때보다 2배 이상이 증가하게 된다. 때문에 여성들 역시 한 시간에 한 번씩은 스트레칭을 해주도록 한다.

안세병원 임정환 원장은 “허리를 뒤로 넘어뜨려 근육을 이완시켜 주거나, 골반을 조금씩 움직이는 것도 허리 건강을 지키기 위한 좋은 방법이라 할 수 있다”며 “또한 음식을 할 때에는 바닥에 쪼그려 앉아 음식을 하기 보다는 식탁 의자에 앉아 음식을 할 것을 추천한다”고 전한다.

가족들끼리 삼삼오오 모여 앉아 고스톱을 장시간 칠 때에도 전신에 통증이 몰려올 수 있다. 때문에 장시간 동안 같은 자세를 유지해야하는 고스톱과 같은 놀이는 되도록 피하도록 하고, 어쩔 수 없이 해야 한다면 15분에 한 번씩 자세를 바꿔주는 것이 좋으며, 한 시간 이상은 하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이는 관절건강을 100% 지킬 수 있는 온전한 방법이 아니다. 때문에 만약 일상생활을 하기 힘들 정도로 통증이 심하거나, 명절이 지나도 계속 통증이 있다면 병원을 찾아 이상이 있는 것은 아닌지 확인하는 것이 좋겠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