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사태 해결하라" 노동자·입점업체·투자자 MBK 청문회 촉구

임태경 기자 / 기사승인 : 2025-04-30 13:47:48
  • -
  • +
  • 인쇄
▲ 민병덕(왼쪽 네 번째) 더불어민주당 을지로위원장이 4월 22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안수용(왼쪽) 마트노조 홈플러스지부 지부장, '홈플러스 사태 해결 공동대책위원회', '물품구매전단채 피해자 비상대책위원회'와 함께 MBK파트너스의 책임 규명 위한 청문회 개최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newsis)

[일요주간=임태경 기자] 홈플러스 사태 해결을 위한 노동자·입점업체·투자자들이 지난달 28일 국민의힘 당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회에서 MBK 청문회 개최할 것을 촉구했다.

이번 기자회견을 주최한 'MBK 먹튀 저지! 홈플러스 사태 해결! 노동자·입점업체 생존권 보장을 위한 공동대책위(이하 공대위)'와 '홈플러스 물품구매전단채 피해자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는 “지난 3월 4일 홈플러스의 기업회생 신청은 유통시장을 충격에 빠뜨렸다. 직영·협력·입점업체를 막론하고 수많은 노동자와 자영업자들이 일자리를 잃을 위기에 처했으며 투자자들 또한 원금 손실 위험에 노출됐다”며 “시간이 지날수록 MBK파트너스와 홈플러스의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은 여전히 마련되지 않고 있다”고 규탄했다.

공대위 공동대표 강우철 마트노조 위원장은 "홈플러스 사태를 들여다볼수록 이해할 수 없는 부분이 넘쳐난다"며 "사태 해결을 위해서는 MBK 청문회가 시급히 개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비대위 이의환 집행위원장도 "국회청문회를 통해 김병주 회장과 김광일 부회장의 책임을 명확히 밝혀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공대위와 비대위는 이번 사태가 단순한 기업 문제가 아닌 지역 경제와 민생 문제임을 강조하며 국회가 초당적으로 나서 MBK 청문회 개최에 힘을 모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특히 이의환 집행위원장은 "오는 6월 회생 결정이 내려지면 홈플러스 청산 절차가 가속화될 수 있다"며 "국회가 하루빨리 청문회를 열어 해법을 마련해 달라"고 호소했다.

강우철 위원장 또한 "지난 3월 18일 정무위원회에서 여야 의원들이 청문회 개최 의지를 명확히 밝힌 만큼 국민의힘은 민생문제 해결을 위해 조속히 청문회를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자회견 이후 공대위와 비대위는 국민의힘에 청문회 요청 서한을 전달하고 정무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의원 전원에게도 청문회 요청서를 전달하는 등 본격적인 압박에 나섰다.

노동자, 입점업주, 투자자 등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은 “홈플러스 사태의 원인으로 지목된 MBK파트너스는 흑자 매장 매각, 임대료 과다 책정, 청산을 통한 엑시트 전략 의혹 등 각종 문제에 대해 아직 명확한 해명을 내놓지 않고 있다”며 이에 따라 MBK의 책임 있는 대응과 국회의 진상 규명을 촉구했다.

강우철 위원장은 발언문을 통해 "MBK 김병주 회장과 김광일 부회장의 책임을 묻는 청문회가 반드시 개최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의환 집행위원장 또한 발언문에서 "단기 채권 투자자들의 피해가 극심하다. 국회가 청문회를 통해 문제를 밝혀내고 사모펀드 구조 개편 및 피해자 보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주가 국회청문회 개최를 위한 마지막 골든타임이 될 수 있다”며 긴박함을 호소했다.

비대위는 "홈플러스 정상화의 길은 MBK의 사재출연과 책임 있는 자구책 마련을 통한 신뢰 회복이다. 국회가 즉각 행동에 나서야 한다"며 "국민의힘은 민생을 외면하지 말고 당장 청문회를 개최하라"고 거듭 촉구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