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요주간=이수근 기자] 네이버가 최근 발생한 이른바 ‘드루킹 댓글 조작 사건’에 대응하기 위해 새로운 댓글 서비스를 개편한다.
네이버는 25일 “댓글 정책 이용자 패널에서 협의한 네 가지 뉴스 댓글 서비스를 오늘부터 개편한다”고 밝혔다.
개편된 내용을 보면 먼저 24시간 동안 하나의 계정으로 클릭할 수 있는 ‘공감/비공감’ 수를 50개로 제한한다. ‘공감/비공감 취소’도 해당 개수에 포함된다.
지금까지는 하나의 계정으로 클릭할 수 있는 ‘공감/비공감’ 수에 대한 제한이 없었다. 같은 댓글에 대해서는 기존과 같이 한 번의 ‘공감/비공감’만 할 수 있다.
아울러 하나의 계정으로 동일한 기사에 작성할 수 있는 댓글 수는 세 개로 제한했다. 기존에는 하루 댓글 작성 한도인 최대 20개까지 동일한 기사에 댓글을 달 수 있었다.
연속 댓글을 작성할 때는 작성 간격을 10초에서 60초로 확대했다. 연속 ‘공감/비공감’ 클릭 시에도 10초의 간격을 새롭게 뒀다.
네이버 관계자는 “댓글 정렬 방식에 대해서도 기본적인 가치와 문제점, 개선안을 논의하고 있다”며 “이르면 5월 중순께 적용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외에도 댓글 작성자의 정체성 강화와 개인별 블라인드 기능 신설, 소셜 계정에 대한 댓글 작성, ‘공감/비공감’ 제한에 대해 검토 중이다.
이와 별개로 어뷰징도 막는다. 이를 위해 ▲인공지능에 기반한 이용자의 로그인 패턴 학습 및 추가 인증 요구 ▲일반 이용자의 사용 가능성이 낮은 클라우드 서버를 통한 IP 접근 차단 ▲기계적 어뷰징 의심 ID에 대한 차단 등 다양한 기술적 대응을 강화하기로 했다.
네이버는 “뉴스 댓글 문제 해결을 위해 모든 사용자가 똑같은 정보를 보는 구조에서 사용자마다 다양한 정보를 보는 구조, 사용자가 마음대로 정보를 구성하는 구조로 바꿔갈 계획이다”고 말했다.
이 같은 네이버의 새로운 댓글 정책 발표에 대해 여전히 일각에서는 드루킹 논란을 재우기엔 역부족이란 얘기가 나온다. 이번 드루킹 사건에서 볼 수 있 듯 한 사람이 수십, 수백개의 아이디를 가지고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 조작이 가능하다는 것.
때문에 단순히 댓글 수를 제한하거나 작성 간격을 늘리는 것만으로는 매크로 같은 댓글 조작 프로그램를 막기 어려울 것이라는 견해가 다수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