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랑 끝 황창규 KT 회장, '불법 후원' 구속 위기...버티기냐 사퇴냐

이수근 기자 / 기사승인 : 2018-06-19 09:08:55
  • -
  • +
  • 인쇄
KT새노조 "사퇴하고 수사 받아야...KT이사회 적폐경영 부역 반성해야"
국회의원 99명에게 불법 정치자금 제공한 혐의로 구속 위기에 직면한 황창규 KT 회장.(사진=newsis)
국회의원 99명에게 불법 정치자금 제공한 혐의로 구속 위기에 직면한 황창규 KT 회장.(사진=newsis)

[일요주간=이수근 기자] 경찰이 수년간 19, 20대 국회의원 99명에게 4억여원의 불법 정치자금을 제공한 혐의로 황창규 KT 회장에 대해 구속영장을 신청했다.


18일 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는 정치자금법 위반과 업무상 횡령 혐의로 7명을 입건하고, 그 가운데 황 회장을 포함한 KT 전·현직 임원 4명에 대해 구속영장을 신청했다고 밝혔다.


황 회장 등은 2014년 5월~2017년 10월 법인자금으로 상품권을 사들인 뒤 되팔아 현금화하는 일명 상품권깡 수법으로 비자금 11억5000여만원을 조성해 이 가운데 4억5000여만원을 19대 국회에서 의원 46명에게 1억6900만원, 20대 국회에서는 66명에게 2억7290만원을 불법 정치후원금으로 쓴 혐의다.


경찰은 후원 계획부터 실행까지 황 회장에게 보고됐고, 회장으로부터 일부 지시도 있었다는 진술과 문서자료 등을 확보했다.


반면 황 회장 측은 "그런 내용을 보고받은 사실이나 기억이 없다"며 혐의를 전면 부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시기적으로 KT가 자사와 관련한 국회 현안에서 유리한 결과를 위해 의원들을 관리하는 차원에서 후원금을 냈고 실제 KT 측에 이로운 방향으로 처리된 사안들이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비자금 11억여원 중 정치후원금으로 사용되지 않은 7억810만원에 대해서는 관련한 정산이나 증빙 등은 없어 용처가 명확하게 확인되지 않은 상황이다.


이 돈 중 일부가 옛 새누리당 핵심 정치인에게 흘러갔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게 KT 안팎의 시각이다. KT 관련 임직원들은 경찰 조사에서 식사와 골프 접대 등에 비용을 처리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들은 자신들의 주장을 입증할 자료를 내놓지 못해 경찰 수사를 통해 사실 관계를 밝혀야 할 숙제로 남아 있다.


또 일부 의원실에서는 정치후원금 대신 지역구 내 시설 및 단체에 기부하거나 보좌진 및 지인의 취업청탁을 한 사실이 있다는 진술도 확보해 경찰이 수사를 진행 중이다.


한편 KT새노조는 황 회장 사전구속영장 청구와 관련 성명을 통해 환영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노조는 "그동안 황 회장은 회사 경영 실적으로 성과를 인정받으려는 노력은 게을리한 채 줄곧 온갖 정치적 줄대기로 자신의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 회사 공금으로 최순실 재단, 국회 등을 가리지 않고 전방위 로비를 해왔다"며 "적폐청산의 국민적 요구가 드높아지는 가운데도 황창규 회장은 적폐경영에 대한 아무런 반성 없이 계속 교묘한 언론플레이를 통해 피해자 행세를 하며 버티기로 일관했고, 그 결과 회사는 더욱 망가지는 최악의 사태가 지속됐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러한 황 회장의 비정상적인 행태를 견제해야할 이사회는 오히려 이를 방조함으로서 회사 경영의 불투명성만 높이는 결과를 초래했다"며 "그 결과 또 다시 회사 CEO의 잘못이 내부 절차가 아닌 외부 사정기관의 개입을 통해 정리되는 이른바 CEO리스크를 자초하고 말았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황 회장은 즉각 회장직을 사퇴하고 수사를 받아야 한다"고 밝히고 아울러 KT이사회에 대해 "지금까지의 적폐경영 부역을 크게 반성해야 하며 KT 경영과 관련 내부 중지를 모으기 위해 노조의 면담 요구에 즉각 응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