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요주간=한근희 기자] 1994년과 2018년은 국내에서 기상관측을 실시한 이후 가장 높은 기온을 기록했던 해로 모두 우리나라 주변 대기상층에 티벳 고기압이, 대기중·하층에는 북태평양고기압이 평년보다 강하게 발달해 덥고 습한 공기가 유입된 결과였다.
여기에다 맑은 날씨로 인한 강한 일사효과까지 더해 무더운 날씨가 기승을 부렸다.
지난 17일 기상청이 발표한 ‘2018년과 1994년 폭염 비교’ 자료에 따르면 올해 봄철부터 여름철(6월 1일~8월 16일) 까지 엘니뇨·라니냐 감시구역의 해수면온도가 중립상태를 보인 반면 1994년에는 봄철부터 엘니뇨가 이어졌다.
엘니뇨는 크리스마스 시즌부터 이듬해 봄철까지 주변보다 2~10℃ 이상 높아지는 이상 고온 현상을 말한다. 주기적으로 일어나고 2~7년이 주기지만 보통 3~4년마다 발생한다. 강한 엘니뇨는 10~15년마다 일어난다.
이에 따라 두 해 모두 열대 서태평양에서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높게 유지되면서 필리핀 해 부근에서도 상승기류(대류활동)가 활발했고, 이 상승기류는 우리나라 남쪽 해상에서 하강기류(대류억제)로 바껴 북태평양고기압이 발달하는데 기여한 것으로 기상청은 보고 있다.
2018년과 1994년 모두 중위도 지역을 중심으로 온난한 성질의 고기압들이 동서방향으로 늘어서 있는 기압계가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북반구 중위도 지역을 중심으로 나타난 고기압들의 강도는 1994년보다 올해 더욱 강하게 나타나 유럽과 중동, 동아시아와 북미를 중심으로 폭염과 산불 등 기상재해가 빈번히 발생했다.
기상청은 관계자는 “두 해 모두 중위도 지역에서 제트기류가 평년보다 북쪽에 위치해 중위도 대기상층의 동서흐름이 정체되면서 폭염이 지속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제트기류는 8~18km 상공에 폭이 좁고 속도가 극히 강한(50kts 이상) 편서풍으로 남북의 기온차이가 큰 지역에서 나타난다.
111년 만에 가장 높은 기온..서울 39.6℃ 종전 기록 경신
올해 8월 1일 서울은 39.6℃ 기온 값을 나타냈다. 1994년 7월 24일께 기록한 종전 기온 값인 38.4℃ 뛰어넘으면서 기상관측을 시작한 1907년 10월 1일 이래 111년 만에 기록을 새로 썼다.
지난 1일 기준 홍천은 41.0℃로, 1942년 8월 1일 대구에서 기록한 전국 역대 1위인 40.0℃를 경신했다. 밤사이 서울은 2일 30.3℃, 8일 강릉은 30.9℃를 기록하면서 기상관측 이래 가장 높은 최저기온 값을 새로 기록했다.
6월 1일~8월 16일 전국 평균기온과 최고기온은 각 25.5℃, 30.7℃로 평년(23.5℃, 28.3℃) 보다 2.0℃, 2.4℃ 높아 1973년 통계작성 이후 가장 높았은 것으로 조사됐다. 일조시간도 611.3시간으로 평년(424.2시간) 보다 187.1 시간이 많아 가장 길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