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주간=박민희 기자] 특정한 관심이나 활동을 공유하는 사람들 사이의 관계망을 구축해 주는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인 SNS 등을 통해 유통되는 자살유해정보가 1년 새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온라인 상에서 무분별하게 확산되고 있는 자살유해정보를 차단해 온라인 생명존중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정부 차원에서 집중적인 국자살유해정보 클리닝 활동을 진행했다.
23일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와 경찰청(청장 민갑룡), 중앙자살예방센터(센터장 한창수)는 지난달 18일부터 31일 2주 동안 진행된 국민 참여 자살유해정보 클리닝 활동에 대한 결과를 발표했다.
2주간의 집중 모니터링 결과 전년 대비 43%가 증가한 총 1만7338건의 자살유해정보가 신고됐으며 정부는 이 중 5957건(34%)을 삭제 조치 했다고 밝혔다. 또한 4건의 자살암시글 게시자에 대해서는 경찰 측이 구호조치를 했다.
신고된 자살유해정보는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및 인터넷 사업자의 협조로 삭제되며 동반자살 모집 글 중 위급한 것은 중앙자살예방센터에서 112에 직접 신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발견된 자살유해정보의 내용은 △자살관련 사진, 동영상 게재가 8039건(46.4%)으로 가장 많았고 그 뒤로 △자살방법 안내가 4556건(26.3%) △기타 자살조장 2417건(14.3%) △동반자살자 모집 1462건(8.4%) △독극물 판매 800건(4.6%) 등이었다.
이들 내용은 주로 SNS(77.3%), 기타 사이트(10%), 온라인 커뮤니티(8.9%), 포털 사이트(3.6%) 등을 통해 유통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자살 관련 사진이 동영상 게재는 지난해 210건에서 올해 8039건으로 3728%의 큰 폭으로 증가했다. 또한 SNS 매체 중 가장 많은 자살유해정보가 신고된 곳은 ‘인스타그램’으로 7607건이 확인됐는데 이 중 자해 관련 사진이 4867건(63%)으로 큰 비중을 차지했다.
한창수 중앙자살예방센터장은 “작년 대비 자살 관련 사진, 특히 자해사진이 인스타그램 및 SNS를 통해 급격하게 확산되고 있는 것은 상당히 위험하다”며 우려의 목소리를 냄과 동시에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및 통신사업자와 보다 긴밀히 협조하여 모니터링하도록 노력하겠다”고 언급했다.
한편 보건복지부는 가장 적극적으로 자살유해정보를 신고한 임희택(26세)씨와 클리닝 활동 수기 공모전 수상자 유영진(26세)씨에게 자살예방의 날 기념식(9.10)에서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을 수여 할 예정이다.
보건복지부 권준욱 국장은 “자살유해정보는 모방자살을 유발할 수 있어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며 ”자해 사진 게재의 증가 등 자살유해정보의 확산을 막기 위한 제도적인 개선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정부는 ”앞으로도 보건복지부와 경찰청, 중앙자살예방센터는 온라인 상 자살유해정보 차단을 위해 관련 기관들과 협의하고 법령 개정을 추진하는 등 지속적으로 함께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