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요주간=김쌍주 대기자] 최근 보이스 피싱의 급증으로 특히, 학생·노인 분들 같은 저소득층에서 막대한 피해를 보고 있어 사회적으로 공분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가운데, 이번엔 추석명절을 앞두고 스미싱 피해자가 급증하고 있다고 한다.
추석연휴를 앞두고 택배안내나 선물교환권을 가장한 스미싱(Smishing) 문자메시지가 기승을 부릴 것으로 예상돼 주의가 요구된다.
스미싱은 문자메시지(SMS)와 피싱(Phishing)의 합성어로 문자메시지로 전송된 인터넷 주소를 누르면 악성코드가 자동으로 스마트폰에 설치돼 피해자가 모르는 사이에 금융정보와 개인정보 등을 탈취해 가는 범죄다.
경찰은 올해 추석연휴를 앞두고 택배배송안내나 선물교환권지급을 가장한 스미싱 문자메시지 유포가 기승을 부릴 것으로 보고 주의를 당부했다.
경찰에서는 무료로 배포 중인 애플리케이션 ‘사이버캅’을 이용하면 문자메시지 URL에 숨겨진 악성 앱을 탐지할 수 있고, 인터넷사기에 이용된 휴대전화번호와 계좌번호도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출처가 확인되지 않은 문자메시지의 인터넷주소는 클릭해서는 안 되며, 미확인 앱이 자동으로 설치되지 않도록 스마트폰의 보안설정을 강화해야 한다.
소액결제는 원천적으로 차단하거나 스마트폰용 백신 프로그램을 설치한 뒤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를 하면 스미싱 범죄를 예방할 수 있다.
본인의 금융정보와 개인정보가 다 털릴 수 있어 피해가 우려되니 많이 전파해 범죄를 사전에 예방 해야겠다.
스미싱 예방법으로는 ▲출처가 확인되지 않은 문제 메시지의 인터넷주소 클릭 금지 ※지인에게 온 문자메시지라도 인터넷 주소가 포함된 경우 클릭 전에 전화 확인 ▲미확인 앱이 함부로 설치되지 않도록 스마트 폰의 보안설정 강화 ※스마트폰의 보안설정 강화방법 : 환경설정→보안→디바이스 관리→‘알 수 없는 출처’에 V체크가 되어 있다면 해제 ▲이통사 고객센터에 전화하거나 이통사 인터넷 홈페이지를 이용하여 소액결제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거나 결제금액 제한 ※자신의 스마트폰으로 114를 눌러 상담원과 연결하여 소액결제 차단 가능 ▲스마트폰용 백신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T스토어·올레마켓·LGU+앱스토어 등 공인된 오픈 마켓을 통해 앱설치 ▲보안강화, 업데이트 명목으로 금융정보를 요구하는 경우 절대 입력을 금지해야 한다.
정상적인 문자는 링크주소가 없다. 혹시라도 주소를 알려달라고 링크가 남겨져 있다면, 그게 바로 스미싱 수법이라 할 수 있으니, 무조건 클릭하지 마시고 삭제하기 바란다. 스미싱 수법이 다양하기 때문에 항상 조심하여야 한다. 순간 클릭했다가 엄청난 피해를 입을 수 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