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주간=이수근 기자] 범죄자를 관리해야 할 교도관들이 범죄를 저지르는 건수가 매년 60여건에 달하고 있지만 솜방망이 제재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소속 채이배 바른미래당 의원이 국무조정실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범죄자를 교화해야 할 교도관들의 범죄행위 발생 건수가 매년 60여건에 달하고 범죄가 적발돼도 83%가 경징계 이하 조치를 받는 것으로 드러났다.

서울구치소 소속 교도관 A씨의 경우 음란 목적의 daum 카페를 운영하던 중 카페 회원들을 몰카 촬영해 카페에 게시한 것이 올해 적발됐다. 그러나 서울구치소는 해당 교도관에게 공무원 징계유형 중 가장 낮은 제재인 견책 조치를 내렸다.
지난해 서울동부구치소 소속 교도관 B씨는 송파구의 한 편의점 앞에서 노상방뇨를 하던 중 이를 목격한 행인으로부터 노상방뇨를 하면 안된다는 말을 듣자 격분해 행인을 폭행했다. 이에 대해 서울동부구치소는 해당 교도관에게 경고만 하고 징계조치를 내리지 않았다.
채 의원의 분석에 따르면 전국 교정시설 직원의 범죄행위는 2017년 69건, 2018년 상반기 58건으로 총 127건인 것으로 확인됐다. 음주운전 53건, 폭행·상해 30건, 성범죄 8건, 절도 6건, 직무관련 수뢰 3건, 기타 범죄 27건 순으로 조사됐다.
수사기관에서 범죄발생 통보를 받은 교도소·구치소측에서 내린 징계현황을 보면 징계조치를 하지 않은 건이 27%(34건), 경징계 건이 56%(71건)이며, 중징계 조치를 내린 경우는 17%(22건)에 불과해 범죄 교도관에 대한 징계가 ‘솜방망이’ 수준인 것으로 밝혀졌다.
범죄유형별로는 성범죄를 저지른 교도관의 75%(8건 중 6건), 음주운전 범죄를 저지른 교도관의 79%(53건 중 42건)가 경징계 조치를 받았다. 절도죄의 경우에도 83%(6건 중 5건)가 경징계 이하 조치를 받았으며, 심지어 폭행·상해 범죄의 경우에는 전체 30건 중 57%(17건)가 징계를 받지 않고 40%(12건)가 경징계를 받아 전체 폭행 교도관의 97%가 경징계 이하 조치를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대해 채 의원은 “교도관들이 범죄를 저지르고 범죄가 적발되더라도 솜방망이 징계를 받아 넘어가고 있다”고 비판하며 “문재인 정부가 성범죄자, 음주운전 범죄자에 등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기로 한 만큼 법무부가 나서서 교도관들의 비위행위를 바로잡고 내부통제를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