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철소 내 반입 철근 등 '경비-하도급업체' 공모 빼돌려
포스코 광양·포항제철소 이틀새 중대 산재 3건 발생
반복되는 사고로 올해 비정규직 등 6명 사망, 7명 중상

[일요주간=조무정 기자] 원자력발전소, 공항 등과 함께 가(최상)급 국가보안목표시설이면서 국가핵심기술 보유사업장에 속하는 포스코 광양·포항제철소가 안전과 보안에 심각한 구멍이 뚫렸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올해 들어 광양제철소에서 위·변조된 차량 번호판을 단 버스가 출입하다 뒤늦게 적발된 것을 비롯해 포항제철소 내 공사현장에서 철근 등 일부 안전 물품이 사라지거나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는 등 보안에 중대한 문제점들이 드러났다.
보안과 더불어 제철소 사업장 내 노동자들의 안전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최근 이틀새 중대 산업재해가 3건 연달아 발생하는 등 올해 반복되는 사고로 비정규직 등 6명이 사망하고, 7명이 중상을 입었다.
국가 핵심시설 보안 문제없나
19일 <한국농어촌방송>에 따르면 위·변조된 차량 번호판을 단 대형 전세버스가 전기전문건설업체인 A업체 직원들을 광양제철소에 출·퇴근 시킨 사실이 뒤늦게 드러났다.
해당 매체는 B사의 대형버스가 A업체와 계약을 맺고 직원들을 출근 시켰는데, 이 과정에서 차량 번호판의 위·변조 사실이 확인돼 경찰이 수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A사는 B사 외에도 C업체와도 전세버스 계약을 맺었으며, C업체 역시 위·변조된 번호판을 대형버스에 부착해 운행해 온 사실이 지난달 20일경 적발됐다.
앞서 지난 10월에는 포항제철소 내 한 공사현장에서 철근 등이 사라져 논란이 일기도 했다.
당시 <매일신문>은 국가핵심기술 보유사업장인 포항제철소 안으로 반입되는 철근 등 여러 물품이 ‘경비업체-하도급업체' 직원 간 공모 속에 빼돌려지고 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매체는 해당 경비업체 퇴직자들의 말을 인용해 반입 물품이 빼돌려지고 있다고 전하며, 포스코 직원들의 관리·감독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당시 포항제철소 내 공사를 맡았던 하도급 건설업체 대표는 메체와 인터뷰에서 철근이 포항제철소 3문을 통해 반입시키기만 하면 반입 물량의 절반이 감쪽같이 사라졌다고 했다.
철근뿐 아니라 공사현장에 들어가는 장갑이나 용접봉 등 각종 물품의 반입량과 사용·보관량도 맞지 않았는 공사 업체의 얘기도 나왔다.
이에 따라 포스코가 감사에 착수해 조사한 결과 외주를 맡긴 경비업체가 출입 및 보안규정을 엉망으로 관리하고 있다는 사실을 드러났다.
잇단 산업재해, 안전불감증 심각
구멍 뚫린 보안과 더불어 포스코의 제철소 내 안전시스템에도 경보음이 울리고 있다.
올초 포항제철소에서 작업중이던 외주업체 근로자 4명이 유독가스에 질식해 숨지는 참사가 발생한 이후 노동부가 특별근로감독까지 실시했지만, 그 이후에도 사고는 끊이지 않고 있다.
광양과 포항제철소에서 지난 11일과 12일 이틀새 3건의 중대 안전사고가 발생해 포스코의 안전불감증이 도마 위에 올랐다.
지난 11일 오후 2시30분경 광양제철소 연주 수리공장에서 입사한지 한달밖에 되지 않은 협력업체 노동자 A씨가 샤클(고리)에 얼굴 좌측 광대뼈를 맞아 중상을 입었고, 같은 날 포항제철소 스테인리스 냉연공장에서 작업 중이던 노동자 B씨가 생산라인에 낀 이물질을 제거하려다 압연롤에 머리와 오른쪽 어깨가 끼이는 협착사고를 당해 의식 불명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음날인 12일 오후 3시40분경 포항제철소 화성부 1코크스공장에서 작업중이던 노동자 C씨가 손가락 네개가 절단되는 중상을 입었다.
이뿐만이 아니다. 올해 들어 포항제철소에서 지난 1월 산소공장 사고로 5명이 숨지고 4명이 중상을 입었다. 당시 사고는 산소공장 운전실 직원이 외주업체 직원들이 산소공장 냉각탑에서 내장재를 교체할 당시 질소가스가 유입됐음에도 배관 밸브를 뒤늦게 잠근 것으로 드러났다.
사망자들은 한 달에 150∼200시간 근무한 적도 있을 만큼 장시간 저임금 노동에 시달렸던 것으로 알려졌다.
광양제철소에서도 4건의 안전사고가 발생해 1명이 사망하고 3명이 중상을 입었다.
지난 6월30일 광양제철소 2제강공장 철강반제품 정정라인 현장에서 작업 중이던 협력업체 광희 소속 비정규직 노동자 D씨가 찌꺼기 제거작업을 하던 중 버켓이 닫히면서 3톤짜리 크레인 설비에 끼어 사망했다.
앞서 지난 4월2일에는 광양제철소 협력업체인 부국산업 공장동 사일로 작업현장에서 하청업체 노동자 E씨가 손가락 4개가 절단되는 사고를 당해 손가락 접합수술을 받은 것을 비롯해 3월 중순에는 광양제철소 원료부두 내에서 일하던 협력업체 노동자 F씨가 흙더미에 맞아 중상을 입었다.
한편 지난 1월 질소누출 산재사망 사고 후 노동부의 특별근로감독 실시 결과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사법처리 대상 414건(하청 13개소 38건), 과태료 146건 5억2935만원(하청 36개소, 87건, 1억4790만원), 작업 중지 10곳, 사용중지 25대, 시정지시 725건’이 확인됐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