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인 칼럼] ESG경영 ‘철저 대비해야’

노금종 발행인 / 기사승인 : 2023-05-22 09:15:24
  • -
  • +
  • 인쇄
▲ 노금종 발행인

[일요주간 = 노금종 발행인] 지난 시간에는 건전성 우량기업을 평가함에서 ‘투자 대비 수익성’ 중심의 ‘재무적’ 정량 지표가 표준이었다. 그러나 지구촌의 범세계적 기후변화 등 최근 기업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이 폭증하면서 ‘비재무적’인 지표가 기업 생존과 운영의 실질적 손익계산서라는 인식이 급증하고 있다. 여기에서 새롭게 등장한 신무기가 ‘ESG’란 개념이다.


기업의 비재무적 요소인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를 뜻하는 것으로, ‘ESG 경영’이란 장기적인 관점에서 친환경 및 사회적 책임경영과 투명경영을 통해 지속가능한 발전 추구에 초점 맞춰진다. 그리고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 및 생존과 직결되는 핵심가치들로, ESG를 구성하는 세부 요소들은 기관별 설립 목적 및 사업의 특성, 이해관계자의 상이성에 따라 다양하게 펼쳐지고 있다.


이제 ESG는 UN(국제연합)을 비롯하여 EU(유럽연합)이나 미국 등 선진국들에 의해 제도적으로 강제화‧의무화됨으로써, 기업 현실이 아무리 척박해도 예외가 될 수 없는 최우선 경영의 핵심 논리로 고착되어 가고 있다. 선진국에 수출할 경우, ESG 관련 △탄소세 부담과 △공급망 관리 조건 충족 △공시 의무 이행은 필히 염두에 두어야만 한다. 이미 선진국들은 이것들을 수단으로 하는 무역장벽을 한층 공고히 하고 있다.


이를 계기로 우리 한국도 지난 2021년은 가히 ESG 경영의 원년이라 불릴 만큼 열풍이 대단했다. 국내 주요 기업체 CEO들의 신년사에 ESG가 빠짐없이 등장했다. ESG 경영은 단기적으론 비용의 증가와 재무적 수익의 감소를 불러올 수 있지만, 결국 이는 비재무적 성과로 상쇄된다. 투자 유치와 사업기회로 활용돼 장기적으론 재무성과로 직결된다.


ESG 경영은 기업의 평판과 가치를 제고해 자본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자본비용을 감소시켜 매출과 수익 등 재무성과로 직결되는 선순환을 음양으로 파생시키기 때문이다.


세계 3대 연기금 중 하나인 노르웨이의 국부펀드는 ESG 평가 기준에 따라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기업, 부패하거나 인권을 침해하는 기업을 투자 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국민연금기금도 ESG 요소를 투자 결정에 반영하고, ESG 관련 투자를 운용하는 기금의 50%로 확대하겠다고 대내외적으로 밝히고 있다.


기업이 돈을 빌리거나 투자를 받을 때 중요한 평가 기준인 신용등급을 평가하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와 무디스, 피치와 같은 신용평가 기관은 이미 2019년부터 기업의 신용을 평가할 때 ESG 요소를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 금융회사도 변화하는 환경에 맞추어 ESG 경영 체계를 정비하고, 고객 수요에 부합한 다양한 금융 상품 및 서비스 개발에 긴박감을 가져야 할 중차대 시점이다.


한국기업지배구조원에 따르면, ESG 공시를 의무화한 국가는 세계 20개국 안팎이다. 노르웨이 등과 같이 지속가능보고서를 별도로 발간하는 국가도 있고, 사업보고서나 별도 서식 내부에 ESG 공시를 의무화하는 국가도 있다.


우리나라 정부는 우선 2024년까지는 자율적으로 공시할 계획이다. 2025년경에는 자산 2조 원 이상 코스피(KOSPI) 상장사는 환경 및 사회적 활동을 담은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공시해야 한다. 2026년부터는 모든 코스피 상장사에 ‘기업지배구조 보고서’ 공시를 의무화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기업의 ESG정보가 일관되지 않게 공시되는 것은 시급히 개선해야 할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현재 평가대상 기업의 ESG정보는 연간보고서, 지속가능보고서, 회사 홈페이지 등 여러 곳에 분산돼 산만하게 공시되고 있다. 이젠 ESG 경영이 대세인 만큼, ESG 데이터의 질적 수준 제고와 공시 체계의 표준화 등 ESG 금융시장이 연착륙하기 위해 풀어야 할 과제가 상당하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