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설광장] 민주화 초석 ‘6.10 항쟁’

소정현 기자 / 기사승인 : 2023-06-26 09:27:16
  • -
  • +
  • 인쇄
▲ 소정현 편집인

[일요주간 = 소정현 편집인] 6월 민주항쟁(六月民主抗爭)은 1987년 6월 10일부터 6월 29일까지 대통령직선제 개헌 등 민주화를 요구하며 대한민국에서 전국적으로 벌어진 대규모 시민 항쟁이다.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가 기획한 6·10국민대회를 기점으로 시작된 유월항쟁 당시 전국 곳곳에서 매일 평균 100회 이상의 시위가 동시다발로 벌어졌다. 6월 항쟁에 참가한 연인원은 400~500만 명으로 추산된다.


4·13 호헌 조치와 부천경찰서 성고문 사건,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그리고 이한열 최루탄 피격 사건 등이 도화선이 되어 전국적인 시위가 발생하였다. 이어 6월 29일 노태우의 수습안 발표로 대통령 직선제로의 개헌이 이루어졌다. 이후 1987년 12월 16일 새 헌법에 따른 대통령 선거가 치러졌다.


1985년 2.12총선에서 신한민주당(신민당)이 승리한 것을 기점으로 대통령직선제 개헌 요구가 날로 커졌다. 1986년 개헌서명운동의 성과로 국회 내 개헌특위가 만들어졌지만, 여야 간 개헌 협상은 난항을 거듭하였다. 이를 빌미로 1987년 4월 13일 전두환은 대통령 임기 내 개헌을 거부하고, 기존 제5공화국 헌법으로 차기 대통령 선거를 치르겠다는 이른바 호헌조치를 발표하였다.


“본인은 얼마 남지 않은 촉박한 임기와 현재의 국가적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중대한 결단을 내리지 않으면 안 되게 되었습니다. 이제 본인은 임기 중 개헌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고 현행 헌법에 따라 내년 2월 25일 본인의 임기 만료와 더불어 후임자에게 정부를 이양할 것을 천명하는 바입니다.”


이어 6.10국민대회 하루 전날인 6월 9일 연세대 학생 이한열 열사가 교문 앞에서 시위를 벌이다가 경찰이 쏜 최루탄에 맞아 피를 흘리며 쓰러졌다. 그는 곧 혼수상태에 빠졌다. 이 소식이 알려지자 학생들은 물론 시민들의 분노가 들끓었다. 이러한 분노 속에서 6.10국민대회가 열렸다.


갈수록 참가 지역이 전국 곳곳으로 확산되어 대도시, 중소도시뿐만 아니라 농촌 지역의 군 단위에서도 시위가 일어났다. 6월 26일에는 하루에만 37~38개 시‧군에서 시위가 동시에 벌어졌다.


결국 경찰력으로 항쟁을 막기 힘들고, 군대 투입도 어렵다고 판단한 전두환 정권은 1987년 6월 29일 ‘6.29 민주화선언’을 통해 대통령직선제 개헌 요구를 수용하였다. 직선제 개헌 이후 대한민국 사회는 본격적인 민주화 단계로 접어들게 되었다.


이와 함께 6월 민주항쟁을 계기로 민주화 시대가 열리자 노동자들의 의식도 바뀌기 시작했다. 1987년 7월 5일 현대엔진에서 노동조합이 만들어진 것을 시작으로 15일 미포조선, 27일 현대중전기, 8월 1일 현대정공 등 현대 계열사를 중심으로 노조가 결성됐다. 회사 쪽에서 어용노조를 급하게 만들었던 현대중공업과 현대자동차에서는 노동자들이 농성과 조합원 총회를 통해 집행부를 바꿔버렸다.


울산에서 시작된 바람은 마산과 창원, 거제를 거쳐 전국으로 확산됐다. 큰 공장에서 작은 공장으로, 나중에는 버스 택시 호텔 병원 백화점 등 전 산업에 걸쳐 파업과 농성, 시위가 일어났다. 노동자들은 임금인상과 노동조건 개선을 요구하며 공공연하게 이뤄졌던 부당노동행위를 규탄했고 인격적 대우와 작업장의 민주화를 요구했다. 1987년 노동자 대투쟁은 한국에서 근대적인 임금노동자가 형성된 이후 발생한 최대 규모의 집단적 저항운동이었다.


결론적으로 6월 항쟁은 군사적 독재 정치가 종식을 고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정치·사회·문화적으로 민주주의의 이념과 제도가 뿌리내리는 결정적 계기가 되었고, 각계각층의 민주적인 시민운동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