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주간 = 하수은 기자]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아 화려한 신기술의 향연이 펼쳐지고 있지만 첨단화, 지능화돼 가는 범죄에 대응한 전략 등은 뒷전에 밀려있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세상이 온통 4차 산업에 대비한 제도와 정책이 필요하다고 한목소리를 내고 있지만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를 겨냥한 해킹 등의 범죄가 기승을 부리면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최근의 비트코인과 관련한 다양한 범죄는 이미 그 전조인 듯하다.
![]() |
▲ 최근 비트코인 등 주요 가상화폐를 겨냥한 해킹 사건이 잇따라 터지면서 고객들의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
최근 불공정거래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문자메시지, 증권방송, 인터넷커뮤니티 등을 이용해 갈수록 첨단화·다양화하고 있다. 이러한 지능화·조직화하는 범죄는 적발 자체가 쉽지 않다.
지난해 말 마우스나 키보드로 여러 번 반복해야 할 동작을 클릭 한 번으로 자동 실행시키는 매크로 프로그램을 이용해 주식 시세를 조종 수십억 원대 부당이득을 챙긴 일당이 검거됐다. 당시 이들은 초당 1∼10주 매매를 반복해 거래가 활발한 것처럼 보여 투자자를 유인하는 수법으로 시세 상승을 노렸던 것으로 드러났다.
VR(가상현실)에서의 사이버 성폭력, 테러 등 새로운 형태의 첨단범죄도 급격히 발생하고 있다. 문제는 이러한 범죄에 대응할 수 있는 법률이 미비해 사회 대처가 미흡한 실정이다.
첨단기기 등을 이용한 범죄 이에도 묻지마 범죄 등 이상범죄와 청소년 범죄가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이상동기’를 가진 범죄자의 증가가 증가 추세다. 이들을 유형별로 보면 ‘화풀이에 의한 범죄자’, ‘이유 없는 범죄자’, ‘정신병에 의한 범죄자’ 등 다양하다.
그 중 화풀이로 인한 범죄자는 부모와의 말다툼, 이혼 등 가정의 불화나 무직 등으로 인한 자신의 처지를 비관해 범죄를 계획하고, 이유 없는 범죄자는 자신의 처지를 사회에 불만을 품고 범행을 저지르며, 정신병에 의한 범죄자는 조현병 등 정신병질로 인한 범죄가 발생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시대의 첨단범죄예방을 위해 산·학·연 간 협력 강화가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최근 암호화폐 관련 금융사고가 심각한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블록체인 전문가 양성에 공동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국민이 안전하고 자유로우며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사회를 위해 모든 학문 분야와 융합된 사회안전 및 범죄 연구, 생활 안전과 범죄 예방을 위한 이론적·학문적 연구 수행이 시급하다. 이러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안전한 사회를 건설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