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신윤위 "사실 미확인·광고성 기사, 인터넷신문 비윤리행위 1순위"

김성환 기자 / 기사승인 : 2025-04-14 14:43:21
  • -
  • +
  • 인쇄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 이용자·종사자 인식조사 결과 발표
이용자와 종사자 모두 '사실 미확인 보도'와 '광고성 기사' 비윤리적 인식
인터넷신문 신뢰도 낮은 수준(2.36점)이나 국내 전체언론 신뢰도(2.32점)
▲제2회 인터넷신문 윤리주간 2025 인터넷신문 윤리의식 조사‧연구 세미나 사진. (사진=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 제공)

 

[일요주간 = 김성환 기자] 인터넷신문의 가장 심각한 비윤리적 행태로 ‘사실 미확인 보도’와 ‘광고성 기사’가 지목됐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는 이용자와 언론 종사자 모두가 공통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문제로 나타났다.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위원장 이재진, 이하 인신윤위)는 중앙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유홍식 교수 연구팀에 의뢰해 지난 3월 21일부터 23일까지 3일간 이용자 500명과 인신윤위 서약매체 종사자 10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터넷신문 윤리의식 조사‧연구’ 결과를 14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는 이날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제2회 인터넷신문 윤리주간 2025’ 기념 세미나에서 공개됐다.

 

이용자들은 인터넷신문의 가장 심각한 비윤리 행위로 ‘사실을 확인하지 않고 기사를 작성하는 행위’(4.18점), ‘광고를 기사처럼 보도하는 행위’(4.12점), ‘허위‧조작 기사 작성’(4.07점)을 꼽았다. 종사자 역시 ‘사실 미확인 보도’(3.91점)를 가장 심각한 문제로 인식했으며, ‘표절’(3.81점), ‘허위‧조작 보도’(3.79점), ‘광고성 기사’(3.78점) 순으로 응답했다.

 

인터넷신문의 자극적인 보도 태도에 대한 지적도 이어졌다. 이용자들은 ‘선정성’(4.02점)과 ‘갈등 편향성’(4.05점)을 높게 평가했으며, 종사자들도 각각 3.5점, 3.44점으로 인식 수준이 비슷했다. 인터넷신문에 대한 신뢰도는 2.36점으로 다소 상승했지만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섹션별 신뢰도에서는 스포츠 뉴스가 3.55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정치 뉴스는 2.37점으로 가장 낮았다. 사회적 기능 평가에 있어서는 ‘중요 사회문제 제기’ 항목이 3.24점으로 가장 높았고, ‘사회적 약자 대변’은 2.29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광고 관련 항목에서는 ‘클릭을 유도하는 오인성 광고’(4.3점), ‘허위‧과장 광고’(4.14점), ‘기사와 혼동되는 광고’(4.11점)가 높은 비윤리 점수를 기록했다.

 

인신윤위의 자율규제 활동에 대한 평가는 이용자(2.4점)와 종사자(4.16점) 간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자율규제 강화 필요성에 대해서는 이용자(3.62점), 종사자(3.81점) 모두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를 진행한  유홍식 중앙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는 “인터넷신문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비윤리적 행위에 대한 자율규제 강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자율규제 환경에 대한 이용자와 종사자 간 견해를 좁힐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