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구조조정 전출 강요 논란···KT지부 “잔류 희망자들, 불합리한 처사에 큰 배신감"

임태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11-01 15:35:31
  • -
  • +
  • 인쇄
KT 김영섭 사장 및 안창용 부사장의 전출강요 위한 강압행위 폭로
"구체적으로 신청기간 연장·설명회 개최·전출 거부자 명단 확보 강행"
KT지부 "모든 KT 노동자의 권리 보장 위해 불법행위 즉각 중단하라"
▲ 지난달 31일 서울 광화문 East빌딩 앞에서 열린 'KT 구조조정 전출 강요 사례 폭로 기자회견' 모습. 공공운수노조 등은 KT 김영섭 사장과 안창용 부사장의 전출 강요행위에 대한 즉각 사과 및 중단을 촉구했다. (사진=공공운수노조 제공)

[일요주간=임태경 기자] KT(대표 김영섭)의 구조조정을 둘러싸고 노사 간 대립이 격화하고 있는 가운데 지난달 31일 방송통신협의회, KT새노조, KT민주동지회, 참여연대, 민생경제연구소는 광화문 KT 본사 앞에서 'KT 구조조정 전출 강요 사례 폭로'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날 이들 단체는 "KT 김영섭 사장과 안창용 부사장을 비롯한 경영진이 구조조정 과정에서 직원들에게 전출을 강요하고 있는 부당 행태를 폭로하기 위해 이 자리에 섰다"며 "이러한 경영진의 강압적이고 비윤리적인 행태를 강력히 규탄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KT는 현재 구조조정을 이유로 전출 대상자들에게 강압적으로 전출 신청을 강요하고 있다"며 "당초 전출 마감일은 10월 28일이었으나 전출 신청이 저조하자 이를 11월 4일까지 연장했고 각 지역 지사별로 설명회를 열어 직원들에게 전출을 강요하는 방식으로 압박을 가하고 있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폭로된 대표적인 사례들을 보면 △ 부사장급 임원이 전적거부 직원들을 업무시간에 소집해서 신설법인 설명회란 명목으로 KT 잔류 시 하게 되는 토탈영업TF가 힘들 거라는 등의 겁을 주고 전출을 회유 또는 강요 △ 잔류하면 외곽순환 근무, 상품판매 목표 굉장히 크고 달성했을 때 G고과부여 △ 관리자들이 전적 거부 직원을 압박하기 위해 소집 지시를 문자로 통보 등의 전출 강요 등이다.

 

▲지난달 31일 서울 광화문 East빌딩 앞에서 열린 'KT 구조조정 전출 강요 사례 폭로 기자회견' 모습. 공공운수노조 등은 KT 김영섭 사장과 안창용 부사장의 전출 강요행위에 대한 즉각 사과 및 중단을 촉구했다. (사진=공공운수노조 제공)

 

KT새노조 등은 "안창용 부사장은 전출 거부 직원 명단을 확보하고 업무 중단을 강제하거나 불이익을 암시하며 전출 신청을 사실상 강요하고 있다"며 "이는 명백히 직원의 권리와 인권을 침해하는 행위"라고 주장했다.


이어 "이러한 강압적 행태는 김영섭 (KT) 사장의 지시에 따른 것으로 보이며 '설명회'라는 이름으로 포장된 사실상의 강요로 노동자의 자율적 의사결정을 무시하고 현장에 불안을 조성하고 있다"며 "이러한 불법적 행위가 더 이상 묵인돼서는 안 된다"고 호소했다.

그러면서 "KT 김영섭 사장과 안창용 부사장 등은 직원들에게 부당한 전출을 강요한 것에 대해 즉각 사과하고 이러한 강요 행위를 즉시 중단하라"며 "KT는 실패한 구조조정을 즉각 철회하고 KT가 책임 있는 자세로 노동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직원들이 마음 놓고 일터로 돌아갈 수 있도록 현장 안정과 경영 정상화를 추진하라"고 촉구했다.
 

▲지난달 31일 서울 광화문 East빌딩 앞에서 열린 'KT 구조조정 전출 강요 사례 폭로 기자회견' 모습. 공공운수노조 등은 KT 김영섭 사장과 안창용 부사장의 전출 강요행위에 대한 즉각 사과 및 중단을 촉구했다. (사진=공공운수노조 제공)

 

앞서 지난달 30일 KT새노조는 KT 잔류 희망자 5700여 명을 대상으로 긴급설문조사를 진행했다.

 

KT 잔류 희망자들은 "내가 큰 잘못을 한 것처럼 느끼게 해 참담하다. 회사에 큰 배신감을 느낀다"며 "자존감이 많이 무너졌고 명치(가 뻐근할 정도로 숨이 막히고) 소화도 안되고 잠도 잘 못 잔다. 몸과 마음이 매우 불안정하다"며 고충을 토로했다.

또한 "그동안 월급 받는 이상으로 일하는 게 맞다고 생각해서 열심히 했다. 결국 선택은 나의 몫이겠지만 노동조합도 큰 기대가 되지 않는다. 면담요청이 계속 오고 있다"며 "직책자들 가족에게 이런 일이 생겨도 이럴 수 있을까? 불합리한 처사에 노동청에라도 신고할 수 있다면 하고 싶다"고 호소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