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시민연대 "스포츠윤리센터, 체육계 인권구제 기관 맞는지 의문" VS 센터 "체육계 비리 척결 노력 중 흠집내기 멈춰야"

임태경 기자 / 기사승인 : 2024-11-12 10:21:02
  • -
  • +
  • 인쇄
체육시민연대 "스포츠윤리센터, 비리와 부실운영 공익제보자 색출 멈춰야" 주장
스포츠윤리센터 관계자 "공익제보자 색출 사실 무관...전반적으로 개선 노력 중"
▲ 스포츠윤리센터 로고. (사진 = newsis)

[일요주간=임태경 기자] “체육의 공정성 확보와 체육인 인권보호를 위해 설립된 스포츠윤리센터는 자신들의 비리를 폭로한 공익제보자에 대한 색출을 즉각 멈춰라!” 

 

지난 6일 체육시민연대는 성명서를 통해 “다수의 공익제보자로부터 스포츠윤리센터(이사장 박지영)의 비리와 부실운영에 대한 제보를 받아 지난 10월 국회 문화체육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이를 바로잡고자 일부 의원실에 관련 사실을 알린 바 있다”고 전하며 이같이 주장했다.

 

이에 대해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 이하 문체부) 산하 스포츠윤리센터 관계자는 “(체육시민연대 성명서에구체적인 내용이나 상황 (설명이) 사실상 없고 사실 확인이 어렵다”고 전제하고 “제보자 색출을 시도 추정 인물을 제보자로 특정해 마치 제보자가 색출된 것처럼 공유했다는 체육시민연대의 주장은 사실 무근이다”고 반박했다.


◇ 체육시민연대 “스포츠윤리센터 관계자가 의원실에 가서 제보자 색출 시도” VS 스포츠윤리센터 “국회를 상대로 이래라저래라 요구할 수도 없는 위치

체육시민연대는 “관련 비위 사실이나 의혹은 신임이사장의 인사 검증 실패 및 자격 문제, 경찰 출신 전 이사장이 주도한 경찰 공제회 건물로의 청사 이전 문제, 문체부의 부당 간섭으로 인한 독립성 훼손 문제, 내부 직원들에 대한 직장 내 괴롭힘과 부당 징계 남발 문제, 직원 간 승진실적 담합 의혹 등 스포츠윤리센터가 도저히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상황이다”고 성명서를 통해 문제점들을 제기했다.

그러면서 “특히 내부의 업무처리 방식이나 각종 공보물 등에 나타나는 인권감수성 부족 문제는 센터가 과연 인권침해를 다루는 기관이 맞는 것인지 의심받기 충분하다”며 “체육시민연대가 (올해 10월) 국회 국정감사를 통해 다뤄지기를 원했던 사안의 경우도 스포츠윤리센터 관계자가 의원실에 가서 제보자 색출을 시도하거나 추정 인물을 제보자로 특정해 마치 제보자가 색출된 것처럼 공유하는 등 심각한 인권유린의 전형을 보여줬다”고 주장했다.

이 단체는 “그간 집단 따돌림과 부당 징계로 센터를 떠난 직원이 다수라는 점에 미루어 센터의 이러한 행태는 고질병으로 보인다”며 “체육인들의 인권을 다루는 기관의 인권감수성이 이런 수준이라면 센터는 폐지해 마땅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스포츠윤리센터는 국민체육진흥법의 개정을 통해 그간 스포츠에서의 인권침해 및 비리문제를 담당해 온 여러 기관을 모두 폐지하고 통합한 체육계 유일의 인권구제 기관이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많은 징계 요청에 대한 미회신 문제로 신뢰성을 잃었고 졸속 출범으로 인한 내부 조직 및 조사관 자질 미달로 그 전문성이 의심되고 있으며 상급 기관인 문화체육관광부의 간섭과 낙하산식 인사로 인해 독립성마저 훼손돼 사실상 무용지물인 상태로 전락했다”고 비판했다.

이에 체육시민연대는 문체부와 스포츠윤리센터를 향해 “체육인 인권침해 구제 기능을 심각하게 후퇴시킨 스포츠윤리센터는 공익제보자에 대한 색출을 즉각 중단 및 제보자 보호 대책 수립·시행하고 제보자 색출에 대해 관련자를 징계하고 이사장이 직접 사과하라”며 “문화체육관광부는 스포츠윤리센터 정상화를 위한 특단의 대책을 수립하고 시행하라”고 촉구했다.


체육시민연대는 이 같은 요구가 모두 관철되지 않을 시 더 많은 체육인들과 시민단체들이 연대해 스포츠윤리센터 폐지를 촉구하고 이를 관철하기 위한 시민운동을 전개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와 관련 스포츠윤리센터 관계자는 본지와의 통화에서 스포츠윤리센터 관계자가 의원실에 가서 제보자 색출을 시도했다는 체육시민연대 측 주장에 대해 “국회라는 곳이 보좌진들이 요구 자료를 가지고 판단을 하는 거고 거기에 대해서 저희가 이래라저래라 요구할 수도 없는 위치에 있는데 이 부분에 대해서는 이해할 수가 없다”며 “국정감사 기간에는 의원실에서 요구 자료를 요청해서 (저희가) 가서 이와 관련된 것을 보좌진들에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어떤 문제가 있는지 이해가 안 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체육시민연대에서 거시적으로 (문제를) 얘기하는 부분들은 설립 초기에도 똑같은 이야기들을 시민연대 등 타 기관 단체들에서 얘기를 했었던 부분이다”며 “(스포츠윤리센터가) 출범하면서 이 부분이 예전보다 점점 나아지고 있고 지금은 오히려 개선되고 이제 조금 자리를 잡아가고 보완이 되고 있는 상황이다”고 해명했다.


그는 “체육계의 비리 등이 심해서 스포츠윤리센터가 더 역할을 해야 된다는 여론이 더 큰데 (스포츠윤리센터를) 폐지하라는 주장이 의아하다”며 “이사장 관련해서 낙하산 인사라고 주장하는데 어떤 검증이 구체적으로 실패했다는 것인지 의문이다”고 반문했다.

이어 “이사장은 검증 시스템을 통해 자격에 아무런 문제가 없으니까 부임을 했고 경찰 출신이랑 이전 청사 문제들은 다 요구 자료로 왔던 것들이다”며 “어떤 검증이 실패한 건지, 실패했으면 왜 실패한 건지 이런 내용들이 있어야 되는데 그런 구체적인 내용들이 없이 표면적으로 강조만 하는 것 같다”고 체육시민연대를 향해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앞서 지난 8월 문체부 스포츠윤리센터 신임 이사 4명, 감사 1명 등 임원 5명을 임명하고 임명장을 수여했다. 신임 임원진의 임기는 3년이다.

당시 유인촌 장관은 임원진 임명장 수여식에 참석해 “체육계에 현안이 많은 상황에서 스포츠윤리센터는 스포츠 공정성의 방향을 잡고 기둥을 세우는 역할을 하는 중요한 기관이다”며 “신임 임원진들이 스포츠윤리센터가 똑바로 나아갈 수 있게 힘써주길 바란다”고 밝힌 바 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