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지역사회 "인천상륙작전 대규모 기념화는 동북아 정세 불안 가중, 평화도시 이미지 역행, 역사 왜곡" 비판
![]() |
▲ 자료=인천평화복지연대 제공. |
[일요주간=임태경 기자] 인천시가 인천상륙작전 74주년 기념행사를 대대적으로 개최한다. 인천시가 이 행사 중 11일 오후에 개최하는 ‘인천상륙작전 기념 시가행진’에 주민들을 동원한다는 소식에 지역시민단체 등의 비난이 일고 있다.
이와 관련 10일 인천평화복지연대는 “인천시는 평화도시 정책 방향에 역행할 뿐만 아니라 군사정권 시절에나 있었던 주민을 동원하는 방식의 전쟁 기념행사를 즉각 중단하고 민생에 힘을 쏟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인천시는 주간 행사 중 상륙작전 당일인 11일 오후 2시 30분부터 4시까지 동인천역에서 인천축구전용경기장까지 1.4km 구간에서 ‘제74주년 인천상륙작전 기념 시가행진’을 개최한다.
![]() |
▲ 자료=인천평화복지연대 제공. |
인천평화복지연대는 “이 시가행진 참여자는 참전용사, 해병대현역대대, 해군 의장대, 제17사단 등 3000여 명이 참여할 것으로 계획돼 있다”며 “현역 군인과 예비역 등의 준 군사 시가행진이다”고 설명했다.
이어 “여기에 인천시는 주민자치회, 의용소방대, 자율방범대 등 자치단체에 각 100여 명씩 거리응원에 참여할 것을 협조 요청하고 있다”며 “말은 협조 요청이기는 하지만 사실상 100명씩 주민 강제 할당을 한 것과 마찬가지다. 인천시가 80년대 군사정권 시절에나 있었던 관제 동원을 하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인천상륙작전 대규모 기념화는 동북아 정세 불안 가중, 평화도시 이미지 역행, 역사 왜곡 등으로 언론과 지역사회의 비판이 끊임없이 제기돼 왔다”며 “인천상륙작전 대규모 기념화는 인천시민들에게 실익이 없다고 평가됐기에 과거 어떤 정부에서도 대규모화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이 단체는 “하지만 유정복 시장은 인천상륙작전을 대규모 국제행사로 추진해 지난해부터 약 50억 원의 예산을 들여 대규모 행사를 추진 중이다”며 “인천시는 내년 75주년을 맞아 참전국을 초대하는 등 대규모 국제행사화 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어 “인천상륙작전은 해결되지 않은 월미도원주민 폭격사건과 귀향문제, 역사적 다양한 재평가, 한반도 정세 불안 가중 등 시민들의 안녕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며 “이런 평가가 있다 보니 내년 대규모 사업화를 위해 인천시가 전쟁 기념 시가행진에 주민들을 동원해 생색내려는 것 아닌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인천시민들은 전쟁을 관광상품화하고 승전 퍼레이드를 하는 것보다 평화와 시민들의 민생을 위해 혈세가 쓰이기를 바란다”며 “유정복 시장은 전쟁과 갈등을 부추기는 인천상륙작전 대규모화와 이 사업의 성공을 위해 시민 관제 동원을 즉각 중단하고 민생에 힘을 쏟아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