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달청 기만·정당 연루"…구미시 CCTV 입찰조작 의혹에 시민단체 강력 대응
![]() |
▲구미시 전경. |
[일요주간 = 최부건 기자] 본지가 3회 연속 단독 보도했던 구미시의 CCTV 교체 사업 입찰 비리 의혹이 ‘권력형 구조 범죄’ 수준으로 확전되는 모양새다. 시민단체인 공직공익비리신고 전국시민운동연합(이하 전공연) 중앙본부와 경북본부는 지난 17일 성명을 내고 “진실 은폐 시도를 즉각 중단하고 관련 책임자를 철저히 수사하라”고 촉구했다.
전공연은 이번 사건을 두고 “시장을 비롯한 구미시 간부, 특정 업체, 정치권이 얽힌 전형적인 권력형 범죄”라며 “조달청을 기만하고 지역 업체를 배제한 조작된 공공조달 범죄”라고 주장했다.
◇ “조달청 기만·지역업체 배제” 권력형 입찰 비리 정황
전공연은 KSYNEWS 등 언론 보도를 인용하며, 구미시가 특정 업체에 유리하도록 입찰 조건을 사전 설계하고, 조달청 기준에도 미달하는 제품을 들여오기 위해 허위·부정확 자료를 반복 제출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이 과정에서 지역 내 동종업체들이 사실상 입찰 경쟁에서 배제돼 “공정조달 원칙이 훼손됐다”고 주장했다. 단체는 “관련 정황은 업체 대표 진술, 해당 국장의 발언, 조달 시스템 기록 등을 통해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 |
▲김장호 구미시장. (사진=구미시 제공) |
시민단체는 구미시가 사건을 축소하려 했다는 의혹도 제기했다. 전공연에 따르면 언론 보도 이후 업체 대표가 ‘구미시 국장이 주도적으로 개입했다’고 폭로했으나, 구미시는 수개월간 조사 없이 기자를 명예훼손으로 고소하는 등 입막음을 시도했다.
또한 경찰이 업체 대표의 진술에도 불구하고 사건을 덮었다는 주장도 나왔다. 감사실 역시 내부 보고에도 불구하고 단 한 차례도 정식 감사를 시행하지 않아, 구조적 은폐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 정치권 연루…“국민의힘은 책임져야”
이번 사건의 핵심 업체 대표는 국민의힘 소속 당직자이자 지방선거 예비후보였으며, 구미시장 역시 같은 당 소속이다. 단체는 “국민의힘이 즉각 조사하고 해당 인사들을 징계하지 않는다면 정치적 공범으로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공연은 구미시 CCTV 입찰 조작 의혹 사건과 관련해 다음과 같은 4대 요구 사항을 제시하며 “정부와 지자체, 수사기관은 즉각 이행하라”고 밝혔다.
첫째, 검찰은 구미시장과 국장, 해당 업체 대표 등 사건 연루자 전원에 대해 형사 수사에 즉각 착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민단체는 “이번 사건은 명백한 권력형 비리로, 단순 의혹이 아닌 범죄 사실이 드러난 사안”이라며 “지체 없는 강제 수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둘째, 조달청에는 허위 자료 제출과 시스템 무력화 시도에 대한 전면 감사와 수사의뢰를 요구했다. 단체는 “조달 시스템을 악용한 불법 행위가 명확히 드러났다”며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 개선도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 |
▲일요주간이 3회 연속 단독 보도한 구미시 CCTV 사업 입찰 비리 의혹. |
셋째, 경찰청에는 기자 입막음 고소 사건과 수사 비호 의혹에 대한 철저한 조사를 촉구했다. 특히, “경찰이 업체 대표의 증언에도 사건을 덮었다는 의혹은 심각한 문제”라며 “법 위반과 직무유기 여부를 명확히 밝혀야 한다”고 지적했다.
넷째, 구미시에는 감사 자료와 내부 보고 이력을 전면 공개하고 시민 앞에 공식 사과할 것을 요구했다. 전공연은 “구미시의 조직적 은폐와 축소 시도는 행정 신뢰를 무너뜨리는 행위”라며 “투명한 정보 공개와 대시민 사과는 최소한의 책임”이라고 덧붙였다.
전공연 측은 “이 사건은 더 이상 ‘의혹’이 아닌 명백한 범죄이며, 권력과 행정, 정치권이 연결된 구조적 부패”라며 “전면 수사와 엄중 처벌이 이뤄질 때까지 끝까지 싸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