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스 손보·PCA생명, 불완전판매 비중 높아...보험사 간 격차 심화

김완재 기자 / 기사승인 : 2022-10-12 10:50:04
  • -
  • +
  • 인쇄
-강민국 의원, 5년여 간 보험사 불완전판매 13만 8000여건...61%는 생명보험사
-손해보험업권 평균 불완전판매 비중 0.06% 비해 에이스는 0.35%로 약 6배 달해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실에서 조사한 바에 따르면 불완전판매가 여전히 근절되지 않고 발생하고 있으며, 최근 5년여 간 보험사 불완전판매는 13만 8000여 건에 달했다.(사진=newsis)

 

[일요주간 = 김완재 기자] 보험사가 보험상품 계약자에게 상품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지 않고 판매하는 불완전판매가 여전히 발생하고 있어 소비자들의 피해가 우려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실에서 금융감독원에 자료요청을 통해 받은 답변자료인 ‘국내 보험업권 불완전판매 내역’을 살펴보면 지난 2017년~2022년 8월까지 보험업권의 불완전판매 건수는 총 13만 8021건으로 전체 신계약건수(1억 3086만 1839건) 대비 0.11%인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보험사 간 격차는 상당한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보험업권 불완전판매를 업권별로 세세히 살펴보면 손해보험 불완전판매는 총 5만 3468에 비중이 0.06%(신계약 8509만 9,496건)인데 반해 생명보험은 불완전 판매가 8만 4553건에 비중이 0.18%(신계약 4576만 2343건)로 손해보험업권에 비해 3배나 불완전판매 비중이 높았다.

 

▲자료=강민국 의원실.

연도별 보험업권 불완전판매 건수와 비중을 살펴보면 여전히 연간 평균 2만 6704건이라는 막대한 불완전판매가 발생하고 있다. 더욱이 지난 5년여 간(2017~2022년 8월) 보험업권 평균 불완전판매 비중을 기준으로 업권별 보험사들의 판매 비중을 살펴본 결과 격차가 심한 것으로 조사됐다.


손해보험업권의 평균 불완전판매 비중은 0.06%인데 반해 에이스 손해보험사는 0.35%로 약 6배에 달했다. 이는 0.02%로 가장 낮은 불완전판매 비중을 가진 AXA손해보험에 비한다면 17.5배나 높은 것이다.

 

손해보험업권 불완전판매 평균 비중인 0.06%보다 높은 손해보험사는 에이스 손해보험사를 비롯해 AIG손해보험(0.15%), 롯데와 한화손해보험이 각 0.07%로 총 4개사가 꼽혔다.


생명보험업권에서 가장 불완전판매 비중이 높은 보험사는 PCA 생명으로 그 비중이 0.75%에 달했다. 이는 평균 불완전판매 비중인 0.18%의 4배 수준이며 가장 낮은 교보라이프플래닛(0.0003%)의 2500배 수준이다. 평균 생명보험업권 불완전판매 비중보다 높은 보험사는 총 14개사(56%)로 조사됐다.

 

▲자료=강민국 의원실.

금융감독원은 보험사의 불완전판매 발생 원인에 대해 “설명의무 핵심 사항으로 보험계약의 주요 내용을 명확하게 설명하지 않거나 보험약관을 교부하지 않은 경우 또는 부당권유 등이 불완전판매 원인이다”고 답변했다.

강 의원은 “보험사의 불완전판매는 보험사고 발생 시 보험금 부지급 등으로 인해 소비자 불만을 증가하게 하고 보험금을 받지 못해 병원비를 즉시 납부하지 못함으로 인한 치료 지연과 경제적 피해를 입을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속적인 불완전판매 판매 발생은 회사가 보유 중인 계약의 장기 유지를 어렵게 하고 민원 해지 등의 경우 보험료 반환, 손해배상책임 등 의무가 발생해 보험사 장기 이익에도 악영향을 준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금융 당국은 보험회사 및 법인보험대리점의 자체 내부통제를 강화하고 제재회피 방지 등 제재 조치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