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주간 = 최종문 기자] 경남 진주 금산면 월아산 소나무 숲 피톤치드 농도가 공업지역보다 5배 이상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여름철 소나무 숲의 피톤치드 농도가 공업지역보다 약 5.6배 높다고 27일 밝혔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연구진이 7년간 월아산 내 진주시험림의 기상자료를 측정해 여름철 소나무 숲의 피톤치드 농도를 계산한 결과, 하루에 2.52μg/㎥의 피톤치드를 내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기도 시화공단 도로에서 측정한 수치(0.45μg/㎥)보다 크게 높다.
![]() |
▲ 월아산 등산로 소나무숲. (사진=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
또 주변 활엽수와 침엽수가 혼합된 숲의 피톤치드 농도는 1.18μg/㎥로 소나무 숲의 절반 정도밖에 되지 않는 것으로 측정됐다.
피톤치드는 식물이 만들어 살균작용을 하는 휘발성·비휘발성 화합물의 총칭이다. 산림에는 주로 휘발성의 물질로 존재한다. 호흡기나 피부를 통해 인체에 흡수돼 항염, 항균, 살충, 면역증진, 스트레스 조절 등 인체에 다양한 건강증진 효과를 준다.
피톤치드를 구성하는 인자 중 알파피넨은 스트레스 완화와 피로 회복을 촉진해주며 미르센은 항산화 효과, 시멘(cymene)은 진통·항염·구강통증을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피톤치드는 일반적으로 나무의 생장이 왕성한 여름철에 가장 많이 발생하지만, 하루 중 산림 내 피톤치드 농도는 비슷해 어느 시간에 숲을 방문해도 피톤치드를 느낄 수 있다.
월아산은 국사봉과 장군대봉이 주봉이다. 정산으로 향하는 등산로 주변 약 400ha 소나무 숲은 사시사철 푸른 녹음으로 힐링을 제공해 인기가 높다.
손영모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장은 “월아시험림을 남부권역 수종의 현지 적응, 생장 모니터링과 새로운 기능성 물질 개발을 위한 장소로 유지하면서도 숲의 피톤치드 제공, 온실가스 흡수 같은 국민의 건강을 위한 공익적 기능도 최대한 발휘될 수 있도록 관리하겠다”고 말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