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만해, 이러다 다 죽어”…영화계의 절규 ‘정부 지원 호소’

정창규 기자 / 기사승인 : 2021-12-20 10:34:29
  • -
  • +
  • 인쇄
영화관 상영시간 다시 제한 조치 반발

▲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방역 작업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뉴시스)

 

[일요주간 = 정창규 기자] "영화관은 죽어가고 영화인의 삶은 피폐해져가고 있다."


20일 영화관 업계가 방역 당국의 영업시간 제한 조치에 반발하며, 정부 지원 호소에 나섰다. 이들이 정부의 지원을 한 목소리로 촉구한 것은 영화산업이 코로나19라는 유례없는 사태로 직격탄을 맞으며 그야말로 존폐 위기에 놓였기 때문이다.

한국상영관협회 등 영화계 단체는 오는 2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정문 앞에서 영업시간 제한 즉시 해제 등을 촉구하는 결의대회를 연다. 한국상영관협회엔 CGV·롯데시네마·메가박스 등 국내 영화관 업체 대부분이 소속돼 있다. 또 멀티플렉스 간판을 달고 있지만 실제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위탁사들도 경영상 어려움이 한계에 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한국상영관협회는 "코로나 상황 이후 각종 재난 지원에서 영화 산업은 철저히 소외돼 있다"며 "특히 극장업은 모든 산업을 통틀어 보더라도 가장 큰 피해 업종이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 방역 정책은 업의 특성을 반영하지 않고 그 어느 때 보다 엄중하며, 그에 비해 지원책은 언제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면서 "무너져가고 있는 영화산업을 살리기 위해 정부의 지원을 촉구한다"고 호소했다.

 

현재 이들은 ▲영업시간 제한 즉시 해제 ▲코로나 사태 이후 영화업계 손실 전액 보상 ▲정부 주도 배급사 대상 개봉 지원 정책 추진 ▲임차료 및 세금 감면 혜택 등 재정 지원을 요구하고 있다.

 

▲ 코로나19로 인해 어려움에 처한 영화관업계가 지난 5월 12일 서울 중구 메가박스동대문에서 정부의 실질적인 지원을 호소하는 기자회견을 가졌다. 이창무 한국상영관협회장이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들이 코로나19로 인한 경영난을 호소하며 정부를 향해 실효성 있는 지원책을 마련해 줄 것을 촉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앞서 지난 5월에도 이들은 코로나19 확산 이후 정부 정책에 따라 띄어 앉기와 운영시간 제한은 물론 철저한 사전 방역 조치로 극장 안전에 만전을 기했고, 위기 극복을 위해 무급 휴직, 운영시간 축소, 일부 지점 휴업 및 폐점 등 자구책을 마련했지만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적자 누적, 정부의 각종 재난 지원 정책에서 제외되며 한계에 봉착했다고 입을 모았다.

지난해 전체 극장 관객 수는 전년 대비 74% 감소하며 통합전산망이 가동된 2004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영화산업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극장이 초토화됨에 따라 그 여파는 한국영화 업계 전반에 걸친 위기로 이어지고 있다.

이날 결의 대회엔 이창무 한국상영관협회장, 영화감독 정윤철, 한국영화프로듀서조합 소속 BA엔터테인먼트 장원석 대표, 수입배급사협회 소속 엣나인 정상진 대표, 영화관과 함께 상권을 형성하는 지역 소상공인이 참석할 예정이다.

정부는 코로나 확산 방지 대책 일환으로 지난 18일부터 영화관 영업시간을 오후 10시로 제한하고 있다.

코로나 사태가 재확산하고 정부가 방역을 강화하자 영화계는 주요 일정을 줄줄이 취소하고 있다. 오는 29일 관객을 만날 예정이던 영화 '킹메이커'가 개봉일을 변경했고, 내년 1월 공개할 계획이었던 '비상선언'도 개봉일을 미룬 상태다. 이밖에도 일부 영화 시사회도 극장 상영에서 온라인 상영으로 전환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