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 쇼핑몰 ‘프레딧’ 유료 멤버십, 4만 명 돌파...풍성한 혜택에 소비자들 지갑 열어

노현주 기자 / 기사승인 : 2023-10-26 13:16:27
  • -
  • +
  • 인쇄
프레딧 멤버십, 연간 3회 무료 제품 신청 기회 등 다양한 혜택 제공
▲ 사진 = hy 제공

 

[일요주간 = 노현주 기자] 지난해 론칭된 온라인 쇼핑몰 '프레딧(Freddit)'의 유료 멤버십 서비스 '프레딧 멤버십(Freddit Membership)'이 구독자 4만 명을 돌파했다. 이 서비스는 작년에 '혀프레시(Hyfresh)'라는 플랫폼을 재론칭해 '프레딧'으로 변경하면서 도입된 '프레딧 클럽(Fredit Club)'의 후속작이다. 

'프레딧 멤버십'은 hy가 지난 2021년에 소개한 프리미엄 유료 멤버십 시스템으로 매달 20% 할인 쿠폰 4장, 연간 4만 원의 크레딧 포인트, 무료 배송 서비스, 그리고 연간 3회 무료 제품 신청 기회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한다. 이러한 혜택들은 연회비를 상회하는 가치를 제공하며 이로 인해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프레딧 멤버십'의 인기는 '프레딧'의 매출 증가로 이어졌다. 올해 9월 말 기준으로 멤버십 고객의 매출이 45억 5000만 원에 달해 이는 지난해 연간 매출 31억 8000만 원을 크게 웃돌았다. 이는 지난해 동기 대비 86% 증가한 수치로 멤버십 고객의 매출 비중은 지난해 29%에서 올해 33%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hy 플랫폼 운영 팀의 곽기민 팀장은 "프레딧 멤버십에 대한 관심이 정기 구독의 편리함과 멤버십 구독자만이 누릴 수 있는 혜택 덕분에 매우 높다"며 "더 많은 소비자들이 hy의 차별화된 멤버십 혜택을 즐길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달 hy는 '프레딧'의 컨셉을 '구독의 모든 것'으로 변경하고 식품 및 생활 제품에 대해 정기적으로 20% 할인을 제공하기 시작했다. 이는 '프레딧'이 더욱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며 소비자들에게 더 나은 쇼핑 경험을 제공하려는 의도를 반영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hy, 프로바이오틱스 및 천연물 소재 ‘기능성 소재 연구성과’ 발표2023.10.23
hy 쇼핑몰 ‘프레딧’ 유료 멤버십, 4만 명 돌파...풍성한 혜택에 소비자들 지갑 열어2023.10.26
hy, 신년 행운 이벤트 '헬리코박터 프로젝트 윌' 황금라벨을 잡아라!2024.01.03
hy 프레딧, 한우세트 등 '설 선물대전'' 진행...추첨 이벤트도 마련2024.01.11
hy, 고함량 멀티비타민 신제품 출시...한병으로 일일 영양 충족2024.01.16
hy, 우유 브랜드 '내추럴플랜' 국제식음료품평회서 '우수미각상' 수상2024.02.14
hy, 소비 패턴·기간 맞춰 지정 장소 무료 배송 '정기구독 프로모션' 진행2024.03.12
hy, 하나은행과 업무협약 통해 '프레시 매니저' 위한 행복동행 금융 지원2024.03.28
서울시, hy와 업무협약 체결 '행복한 일자리 동행 프로젝트' 추진2024.03.29
hy, 서울시와 '기부하는 건강계단' MOU 체결...10년간 누적 기부 1억 돌파2024.04.16
hy 봉사단, 홀몸노인 58명과 봄나들이 ‘효 사랑 소풍’ 참여2024.05.09
hy, 고함량 비타민 '브이푸드 리포좀 비타민C' 출시...체내 흡수율 ↑2024.05.08
hy, 복합기능성 '케어온 관절 토탈케어' 출시 4주 누적 100만병 돌파2024.09.30
hy, K프로바이오틱스 '윌' 중국 수출 본격화2024.09.23
hy, 소화가 잘되는 유당분해우유 출시...기존 우유와 맛과 성분 차별화2024.11.29
hy, 'K-프로바이오틱스' 헬리코박터 프로젝트 윌 美 H마트 입점2025.02.03

오늘의 이슈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