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구제역이 충주와 경기지역에서 기승을 부리고 있는 가운데 7일 오후 구제역 일제 소독의 날을 맞아 대전 서구 기성동의 한 축산농가에서 방역차를 이용해 방역을 하고 있는 모습. |
북한의 경우 가축질병 관련 치료제와 예방백신이 없는데다, 일단 발병하면 예외없이 죽음에 이르는 무서운 질병인 아프리카돼지열병(ASF), 그리고 구제역과 고병원성 조류독감(AI) 과 같은 치명적인 가축질병들이 북한을 거쳐 들어올 가능성이 높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7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김현권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농림축산식품부 등에게 받은 자료를 보면 지난해 북한과 접해 있거나 가까운 랴오닝(遼寧)성, 지린(吉林)성, 헤이룽장(黑龍江)성 등 중국 내 3개 성에서 모두 ASF가 발생해서 약 2600마리의 돼지가 죽었다. 러시아에서도 최근 3년간 ASF가 잇따라 발병해 돼지 56만7812마리가 죽거나 살처분당했다.
이에 따라 ASF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선 중국, 러시아와 인접한 북한에 가축방역 경험을 전하고 협력체계를 구축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구제역·AI가 기승을 부리면서 가축방역을 위한 납북협력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로 꼽히고 있다.
유엔 식량농업기구(UN FAO)에 따르면 북한은 2011년과 2014년 구제역 확산으로 국제기구의 지원을 요청했으며, 2016년에도 구제역이 발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설상가상으로 UN FAO는 북한을 2013년, 2014년, 2016년 AI 발병국으로 분류하고 있다.
김 의원은 "실제로 광견병(rabies, 공수병)은 북한을 통해 유입된 가축 전염병 확산 사례로 꼽히고 있다. 지난 1984년이래 남한에서 발병하지 않았던 광견병이 1993년부터 북한 야생동물로부터 들어와 경기·강원 북부지역에서 재발하기 시작해 수도권 인근까지 번졌다"고 과거 사례를 전하며 "이렇듯 북한이 아니라 우리나라 야생 동물 건강과 축산업 보호를 위해서라도 북한에 대한 가축질병 발생 정보 파악과 방역‧검역 기술의 지원과 협력은 반드시 풀어야 할 숙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북한은 아직도 가축질병 발생 상황을 국제기구에 통보하지 않고 있어 ASF를 비롯해 구제역, 고병원성 조류독감(AI) 등 현지 가축전염병 발생 사정을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뒤따르고 있다"며 "북한과 가축방역에 대한 협력을 강화해서 질병모니터링과 관리시스템 구축을 지원하고 ASF진단키트와 구제역 백신 등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특히 농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가 2014년부터 2017년까지 베트남을 상대로 국립가축질병진단센터 건립을 지원한 선례를 들어서 “ASF와 구제역 진단과 예방에 대한 대북 기술 지원을 확대하고 관련 가축질병 정보 교류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