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주간 = 최종문 기자] 산림청 국립수목원이 현재 광릉숲에서만 서식이 확인되고 있는 천연기념물 제218호 장수하늘소의 이동범위를 포함한 생태학적 정보를 파악하고, 광릉숲 내 안정적 보전을 위해 추적연구를 시작한다고 20일 밝혔다.
국립수목원은 지난 19일 우리나라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야생생물 I급인 장수하늘소 10개체(암컷 5·수컷 5)를 광릉숲에 방사했다.
![]() |
▲ 소형 송신기를 부착한 장수하늘소. (사진=산림청 국립수목원) |
광릉숲에서는 2018년부터 매년 장수하늘소를 방사하고 있지만, 이번처럼 10개체를 한 번에 방사하는 것은 처음이다.
이번에 방사하는 개체 중 6개체는 올해 광릉숲에서 발견된 개체다. 4개체는 국립수목원에서 사육을 통해 확보한 개체다.
현재 국립수목원은 장수하늘소의 안정적 보전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광릉숲산 장수하늘소 450여 개체를 사육하고 있다.
이번에 방사한 장수하늘소에는 광릉숲 내 이동범위를 포함한 생태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레이더 추적장치를 부착한 후 방사했다.
국립수목원에서는 그동안 장수하늘소의 비행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실내 비행 실험 등을 시행했다. 이번에 방사하는 개체에 소형의 송신기를 달아 추적해 서식지의 이동범위 등을 밝힐 수 있을 것으로 국립수목원은 기대하고 있다.
장수하늘소 연구를 담당하는 이봉우 연구관은 “이번 추적연구에서 확보되는 장수하늘소의 광릉숲 내 이동능력 등 생태학적 정보는 장수하늘소의 보전과 복원에 있어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장수하늘소의 밝혀지지 않은 생태학적 정보를 알아내기 위해 다양한 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