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스코-납품업체들, 계약서 작성 안해 법적 대응 쉽지 않아…포스코의 부실업체 선정 논란
![]() |
▲서울 포스코 본사 전경. |
[일요주간 = 황성달 기자] 포스코 포항과 광양제철소에 도시락을 납품하던 지역 업체들이 줄도산 위기에 놓였다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 커지고 있다.
최근 ‘매일신문’ 보도에 따르면 포항지역 도시락 업체 16곳이 40~50일치 대금을 받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도시락 업체와 거래하던 식자재 납품업체도 힘겨운 나날을 보내고 있다.
이 매체는 적게는 3500만원에서 많게는 1억원에 달하는 미수금이 발생한 상황이며, 대부분 도시락업체들이 영세업체라서 도산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전했다.
이번 미수금 사태는 포스코가 도시락 업체와 직거래하던 방식을 접고 중개업체 A사와 계약을 체결한 뒤 2018년부터 스마트폰 앱(포도락)을 통해 포스코가 필요한 도시락을 주문한 것이 사건의 발단이 됐다.
중개업체 A사는 도시락 제작업체에 의뢰해 도시락 수만큼 수수료를 받아챙겼다.
매체에 따르면 이 중개업체는 도시락 업체에 대해 매주 정산을 진행하던 중 2020년 8월 돌연 월정산을 통보했다. 그러던 중 중개업체 A사는 올 6월부터 대금결제를 차일피일 미룬 뒤 이달 11일 종적을 감췄다는 게 도시락 업체들의 주장이다.
문제는 이들 도시락 납품업체들과 중개업체 A사 간에 '거래 계약서' 조차 없다보니 법적대응도 쉽지 않다고 매체는 전했다. 포스코를 민고 계약서를 쓰지 않은 것이 화근이 되고 있는 셈이다.
더욱이 포스코 역시 중개업체 A사와 대금지급 계약서 등을 쓰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 도시락업체 관계자는 해당 매체와 인터뷰에서 2018년 2억여원, 2019년 4억여원 부실이 난 회사(중개업체 A사)에 대해 포스코가 지속적으로 이용을 권유한 것에 의문을 제기했다.
본지는 이번 사태와 관련 포스코 측의 입장을 듣기 위해 서울 본사에 전화통화를 시도했지만 연결이 되지 않았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