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장애인정보화 대제전에 참가한 장애인들이 정보검색 실력을 뽐내고 있는 모습. |
[일요주간 = 노현주 기자] 정부가 인공지능(Al) 등 지능정보 기술을 활용해 장애인·노인 등 사회적 약자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사회현안해결 지능정보화 사업을 올해 신규로 추진한다.
6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이번 사업 추진을 위해 지난 1년간 국내 뉴스 분석·현장 수요자 의견 청취·전문기관 등의 자문을 거쳐 장애인, 노인, 청소년 등 분야별로 다양한 후보과제를 발굴했다. 그 중 시급성·파급효과·기술 성숙도 등을 고려해 올해 추진할 신규 4개 과제를 도출했다.
4개 과제는 장애인의 일상생활 장벽을 해소하기 위해 청각장애인을 위한 지하철 등 대중교통의 음성 안내 방송(출발·도착·지연·재난)의 실시간 문자·수어 애니메이션 전환 서비스와 발달장애아동의 인지학습을 돕는 AI 기반 교육 서비스 개발·실증을 지원할 예정이다.
고령화로 인한 그늘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돌봄 사각지대에 놓인 치매 환자를 위해 말벗, 일상 관리, 응급상황 대응이 가능한 돌봄 로봇과 홀몸 노인의 생활 관리를 위해 웨어러블 장비를 통해 데이터를 축적하고 AI로 맞춤형 일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 서비스 개발·실증을 지원한다.
이를 위해 올해 예산 40억원을 투입한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사업이 민간의 초기 투자가 쉽지 않은 사회적 약자를 위한 지능정보 서비스 시장을 선도적으로 조성하는데 마중물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이번 사업성과의 보다 원활한 확산을 위해 복지부 등 관계부처, 관련 공공기관, 민간전문가로 구성된 정책협의회를 구성·운영해 사업 추진의 주요 사항을 공유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농아인협회, 발달장애아 부모 등 수요자의 의견도 지속적으로 청취해 반영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사업에 응모하기 위해서는 지자체, 공공기관, 지능정보기술·서비스 개발 기업 등으로 컨소시엄을 구성해야 한다. 공모 기간은 오는 7일부터 4월 8일까지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