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알코올 중독 관련 요인분석 및 정책방향’(정진욱 부연구위원) 보고서에 따르면 음주 경험이 있는 성인의 12.7%가 알코올 중독 위험군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선 음주의 횟수, 음주의 양·과정, 후유증 등을 점수로 매겨 0∼15점은 정상 음주군, 16∼19점은 위험 음주군, 20∼40점을 알코올 사용장애 추정군으로 분류해 알코올 중독 여부를 판단했다.
조사대상 성인 남녀의 83.4%는 음주 경험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중 알코올 위험 음주군과 사용장애 추정군은 각각 5.9%, 6.8%로 집계돼 총 12.7%, 즉 성인 8명 중 1명꼴이 알코올 중독 위험 수준에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위험군에 속한 사람들 중 10대에 처음 술을 마시게 된 경우는 위험 음주군이 43.8%, 사용장애 추정군이 48.8%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밖에도 남성은 여성에 비해 위험 음주군에 속할 가능성이 4.6배, 사용장애 추정군에 속할 가능성은 3.3배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또 가족·직장·이웃관계에서 갈등을 겪을수록 위험 음주군이나 사용장애 추정군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으며 흡연 경험이 있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위험군에 속할 가능성이 3배 이상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정진욱 부연구위원은 “알코올 중독은 조기치료가 중요한 만큼 건강검진 시 알코올 중독 문진을 실시하고 10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올바른 음주교육을 실시해야 한다”며 “알코올 중독의 예방·치료·관리를 위해 소주, 맥주 등 주류에 건강증진 부담금을 부과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