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주간=박민희 기자]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위원장 허권, 금융노조)은 BNK경남은행이 도입을 계획하고 있는 ‘성과향상 프로그램’이 직원들의 실적압박을 강요하기 위한 수단일 뿐이라며 계획안 추진을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13일 금융노조는 성명을 통해 “‘성과향상 프로그램’은 저성과자 퇴출제도에 불과하다”고 강하게 반발했다.
경남은행은 지난달 직원들에 ‘성과향상 프로그램 실시(안)’에 대한 도입 계획을 밝혔으나 노조는 이 기획안의 상세 내용을 두고 “사측이 단순히 성과주의를 장려하는 수준이 아닌 인권유린에까지 이르렀다”고 주장했다.
노조에 따르면 경남은행은 지난달 “주 52시간 근무 시대에 걸맞게 노동시간을 단축하고 근로문화를 혁신하겠다“며 거의 모든 전 직원을 대상으로 성과가 낮은 대상자에 한해 일정 시간의 자구 기간을 준 다음 그후에도 진전이 없을 경우 ‘성과향상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자체적인 문제 해결 방안을 직원들에게 제시했다.

기획안에는 대부분의 직원들이 해당되는 3급 이하의 전 직원은 저성과자로 선정될 시 6개월간의 자구 기간을 거쳐 성과가 나아지지 않을 경우 해당 프로그램을 진행한다는 계획을 포함하고 있다는 게 노조측 설명이다.
이밖에도 저성과자 대상자가 되면 별도의 영업조직에 배치해 영업점 서포터즈, 포터블브랜치 및 무빙뱅크 지원, 대내외 행사지원 등의 일을 맡게 된다.
또한 경남은행은 비정규직의 업무를 대상자의 직무로 명시하게 함으로써 비정규직 감축에 대한 계획을 밝혔다. 노조는 이에 대해 “사측은 ‘비정규직 감축’이라는 설명 하에 성과향상 프로그램으로 비정규직 해고를 염두에 둔 것”이라고 판단했다.
또 6개월의 자구기간 이후 대상자는 ‘LP(Low Perfoemer)’라는 별도의 직책으로 분류되는데, 노조는 이를 “‘저성과자’라는 낙인을 찍어 모욕을 줌으로써 퇴직을 강요하겠다는 것”이라며 “결국 사측은 저성과자 퇴출이 목표인 것”이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경남은행은 영업장들에게 ‘동기부여 대상자’라는 이름의 저성과자를 선정하는 프로그램을 진행해 실적 압박을 위해 수직계열화하는 체계를 담은 별도의 기획안을 세운 것으로 드러났다.
노조는 “사측이 저성과자와 그렇지 않은 직원을 ‘제거해야 할 직원’과 ‘선량한 직원’으로 이분법 잣대로 가른다”며 이같은 방침은 "서로를 반목시키기 위함인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경남은행에 대해 프로그램 도입 시도를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하며 “이렇게 비인간적으로 노동자를 멸시하는 반인권적 노동탄압은 어떤 경우에도 절대 용납할 수 없다”고 경고했다.
이와 관련 <일요주간>은 경남은행측 입장을 듣기 위해 여러차례 전화통화를 시도했지만 담당자가 자리에 없다는 이유로 답변을 들을 수 없었으며 기자의 연락처를 회사쪽에 남겼지만 담당자로부터 끝내 전화가 걸려오지 않았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