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비없는 블록체인 STO, 투명성 등 본질 반영되어야"

이상현 기자 / 기사승인 : 2019-01-15 15:55:34
  • -
  • +
  • 인쇄
[출처=pixabay]
[출처=pixabay]

[일요주간=이상현 기자] 국내에서 ICO가 전면 금지 조치가 풀리지 않자 블록체인 프로젝트 사이에서는 ICO의 대안으로 STO(Security Token Offering, 증권형 토큰 발행)가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다. 증권형 토큰은 자본시장법상 증권에 해당되므로 제도권에 편입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자산유동화를 위한 STO는 2007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발생시킨 근본적 이유와 비슷해 초점이 잘못 맟춰졌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원이 운영 중인 코인원 리서치센터는 지난 14일 '자산 유동화를 위한 STO는 핵심이 아니다'라는 보고서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레몬마켓이 형성돼 유동성이 하락하고, 2007년 금융위기 구성요소가 재등장 할 수도 있다는 설명이다. 또한 2007년 글로벌 금융위기의 발단은 금융공학의 탈을 쓴 쪼개기와 유동화가 낳은 MBS(Mortgage-backed Securities; 주택담보대출유동화증권)의 무리한 발행이었다고 분석했다.


'레몬마켓'이란 판매자에 비해 제품에 대한 정보가 적은 소비자(정보의 비대칭성)들이 속아서 살 가능성을 우려해 싼값만 지불하려 하고, 이로 인해 저급품만 유통되는 시장을 말한다. 이처럼 불량품이 넘치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소비자도 외면하게 되는 시장이 된다는 것이다.


코인원 리서치센터는 "적절한 통제 없이는 기존 금융시장에서 낮은 투자상품 등급 등의 이유로 유동성을 확보할 수 없었던 Toxic Asset 위주로 STO시장이 전개될 확률이 높으며, 투자자들은 결국 레몬마켓을 인지하게 되고 자연스럽게 초기 유동성은 하락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STO에 앞서 세 가지가 고려되어야한다고 제시했다. ▲기존 금융시장보다 세부적인 규제 마련 ▲기존 금융사와 블록체인/암호화폐 업계의 역할 분담과 블록체인 기술 도입에 대한 주도권 지정 ▲암호화폐의 내재가치 정립 및 오라클(Oracle)의 필요성이다.


코인원 리서치센터는 보고서를 통해 "토큰의 증권화가 의미 있는 혁신이 되기 위해서는 자산 유동화가 아닌 발행 수수료 감소, 국경의 극복, 투명성 제고, 스마트계약 도입에 따른 계약이행의 효율성 개선과 같은 블록체인과 암호화폐의 근본적 장점을 활용하는데 집중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