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요주간=최종문 기자] 국민의당 박준영 의원의 공천헌금 수수 혐의와 김수민 의원의 불법 정치자금 수수 및 밀실공천 의혹 등으로 인해 야권 공조가 난항을 겪고 있다.
더민주 어버이연합 의혹 진상조사 태스크포스 간사 겸 대변인인 박범계 의원은 15일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의 보수단체 대한민국어버이연합 지원 의혹과 관련해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면서 야권 공조에 대한 아쉬움을 나타냈다.
박 의원은 이 사안에 대한 국민의당과의 공조 여부를 묻는 질문에 "이용주 국민의당 어버이연합 불법 자금지원 태스크포스(TF)팀장과 만나 대화도 나누고 해서 호흡을 잘 맞출 수 있다고 기대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는 이 문제에 그간 야권 공조 논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 뉴시스 확인 결과 그간 양당 간 어버이연합 의혹에 관한 공동 논의는 아예 없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이용주 의원은 이날 "아직은 그런(야권 공조) 게 없었다"며 "3당이 합의한 청문회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더민주와) 협의나 공조하는 게 있을 것이지만 추가로 논의된 것은 없다"고 밝혔다.
이뿐만이 아니다. 이른바 '정운호 게이트' 등 법조비리에 대한 공동 대응 역시 어려워진 상황이다. 이 부분에도 두 야당의 공조 움직임은 크게 눈에 띄는 게 없다.
이는 검찰 수사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더민주와 아무래도 몸을 사릴 수 밖에 없는 국민의당의 입장 차이에서 이유를 찾을 수 있다. 상대적으로 검찰 수사에서 자유로운 더민주는 가속 페달을 밟는 데 주저할 이유가 없다.
하지만 국민의당은 박준영 의원 사건과 김수민 의원 사건이 검찰 수사 중에 있어 더민주와 보폭을 같이 할만큼의 여유로운 상황은 아니다. 아무래도 검찰 눈치가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다보니 야권으로선 호재를 살리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야권 공조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어 어버이연합 의혹 같은 대여(對與) 압박용 이슈에서도 야권이 한 목소리를 내기 어려운 것이다. 아무래도 국민의당이 내부 일로 분위기가 어수선한 탓이 크다.
여기엔 더민주가 검찰과 관련한 사안에 국민의당과 흔쾌히 공조하지 않으려 하는 분위기도 한 몫을 하고 있다. 김수민 의원 사건이 미칠 파장을 가늠할 수 없는 상황에서 국민의당과 검찰 관련 사안에 공조를 했다가 자칫 정당의 비례대표 공천 의혹 같은 불똥이 자신에게도 튈 수 있다는 점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더민주 관계자는 "(김수민 의원 사건이) 야권 공조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우려가 있다. 검찰 수사가 진행되면 (정당은) 대체로 위축된다"며 "좀 더 강하게 할 수 있는 것도 (수사를) 신경 쓰고 그러면 (검찰 관련 사안을 대응하는 데)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