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요주간=안석호 기자] 새누리당이 5일 박원순 서울시장 흠집내기에 공을 들였다. 지상욱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내고 "서울시가 야심차게 추진하는 청년수당 사업의 위탁기관으로, 박 시장 측근 유창복씨가 대표인 사단법인 '마을'이 선정됐다"면서 이같이 공세를 폈다.
지 대변인은 "유 대표는 2011년 서울시장 보궐선거 때 박 시장 캠프에서 정책자문단으로 활동했고 지난해 말에는 서울시 '협치자문관'으로 위촉된 박 시장의 최측근"이라고 밝혔다.
지 대변인은 이어 "사단법인 마을은 지난해 다른 위탁사업 수행 때도 감사원의 지적을 받은 적이 있다"며 "감사원은 '마을'의 위탁사업 수행 과정에서 '보조사업비 중 상당금액이 컴퓨터와 냉장고 등 물품 구입 또는 식비 여비 등 일상 경비로 사용된 사례가 있다'고 서울시에 주의처분을 내린 바 있다"고 지적했다.
지 대변인은 그러면서 "이제 사단법인 마을은 청년수당 지원 대상인 3,000명의 선발부터 평가까지 하는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그렇다면 지난해 혈세를 부적절하게 집행한 '마을'이 청년수당 전체예산 중 상당 금액을 또 다시 받게 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박 시장은 구의역 사고로 목숨을 잃은 19세 청년의 용역회사가 서울메트로 퇴직직원의 낙하산 직장으로 밝혀져 모든 국민들의 울화통을 터지게 하더니, 불과 한 달 보름도 되지 않아 이제는 대놓고 시민의 혈세로 측근을 먹여살리는 뻔뻔함을 보여 줬다"고 비판했다.
같은 당 오신환 의원도 이날 미리 배포한 대정부질문 보도자료를 통해 구의역 사고 문제를 거론하며 '메피아' 문제에 대해 집중 공략했다. 오 의원은 "구의역 스크린도어 참사의 원인은 서울메트로의 용역회사인 은성PSD와의 추악한 공생관계 때문"이라며 "은성PSD가 서울메트로 출신 퇴직자들의 은퇴용 자리로 변질돼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구의역 참사의 발생원인은 비전문성을 가진 낙하산 인사들에 의한 것"이며 "정규직에 대한 과잉 보호가 비정규직에 대한 수탈로 이어지는 노동시장의 이중성 문제이자, 박원순 시장의 측근들을 메트로에 대거 낙하산으로 포진시킨 탓"이라고 '박원순 책임론'을 거듭 제기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