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 사드 반대하면서도 '성주' 방문하지 않는 이유는?

최종문 기자 / 기사승인 : 2016-07-19 10:28:32
  • -
  • +
  • 인쇄
▲ 국민의당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이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사드한국배치반대 전국대책회의-성주대책위 면담에서 모두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일요주간=최종문 기자] 국민의당이 사드배치에 대해 반대를 당론으로 정하고 연일 공개적으로 정부를 비판하고 있다. 그러나 정작 사드 배치 장소로 결정된 경북 성주에는 방문하지 않고 있다. 일각에서는 국민의당이 현지 방문까지 나서며 안보 문제에 정부 여당과 대립하는 것에 대해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박지원 국민의당 비대위원장은 18일 국회에서 진행한 사드한국배치반대 전국대책위 성주대책위와의 면담에서 "문제를 국회에서 풀기 위해 성주 방문을 자제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연일 더불어민주당에 당론을 정하라고 압박하고, 정부를 상대로 국회 비준동의안을 제출하라고 촉구하는 등 사드 배치 발표를 두고 국민의당이 보여 왔던 기존의 강경 입장과는 대조되는 모습이다.
이를 두고 국민의당이 섣불리 성주를 방문했다가 자칫 향후 국회에서 '성주의 대변자' 역할을 맡게 될 것이라는 부담을 느끼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비록 사드 배치 반대를 당론으로 정하고 있지만 사실상 철회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점에서 성주 군민들의 반발이 장기화할 경우 여론 추이에 따라 국민의당이 곤란한 상황을 맞을 수도 있을 것이란 점을 우려한 것이다.
정부가 사드 배치를 강행할 것이 확실시되는 상황에서 성주군민들은 향후 교섭단체 3당 중 유일하게 사드 배치 반대를 당론으로 정한 국민의당에 지속적으로 민원을 제기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국민의당으로선 해결이 어려운 과제를 장기적으로 안고 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관련 국민의당 소속 한 초선 의원은 이날 뉴시스와 만나 "사드 배치에 반대는 하지만 국민의당이 성주대책위를 저렇게 만나는 건 별로인 것 같다"고 말했다. 정치적으로 별반 득이 되지 않는 다는 판단이다.
국민의당은 아울러 당초 중도 노선을 표방하며 '안보는 보수'라고 주창했던 만큼 성주 현장까지 찾아가는 것이 당에 오히려 부메랑이 될 수 있다고도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성주에서 황교안 국무총리 억류 사태가 발생하고, 새누리당에서 이에 대해 통합진보당 잔존 세력의 개입이라는 공세를 펼치고 있는 상황에서 성주를 현장 방문할 경우 자칫 당 지지층의 한 축인 중도표를 대거 잃어버릴 수 있다는 것이다.
박 위원장은 특히 이날 면담에서 박석운 한국진보연대 공동대표가 요청한 '촛불집회 참여'에 대해서는 "저녁에 나와라 어쩌라, 그렇게 하면 안 된다"고 공개적으로 못박았다.
사드배치 반대 촛불집회가 자칫 과거 광우병 사태 등을 연상시켜 국민의당에 중도정당이 아닌 기존 야당 이미지를 빼도 박도 못하게 덮어씌울 수 있다는 우려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박 위원장은 연일 "사드 괴담에도 반대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국민의당에게 사드 문제는 당 최대 위기였던 '김수민 사태'로 인해 잃었던 야권 지지층을 재결집시키는 반전 카드 격이었다.
국민의당이 사드 문제로 연일 더민주를 공개적으로 압박하는 데에도 이처럼 정통 야권 지지층을 자당으로 끌어 모으려는 셈법이 숨어있었다.
그러나 국민의당은 사드배치를 당론으로 채택하고 공론화하면서 분위기 반전에는 성공했지만, 당론이 중도정당에, 안보는 보수라는 당 정체성에 뚜렷이 부합하지는 않는 노선인데다 현실적으로 사드 철회가 불가능하다는 게 분명해지면서 시간이 갈수록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당은 일단 당장 성주 현장방문은 삼가더라도 '적당한 기회'에 당 차원의 방문을 하겠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당 정체성을 비롯해 당이 처한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하면 향후에도 국민의당의 성주 현장 방문이 그리 쉬운 일은 아닌 듯 하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