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요주간=최종문 기자] 지난 9일 새누리당 전당대회에서 당 대표는 물론 최고위원까지 친박계가 싹쓸이하면서, 친박계의 잠재적 대권주자로 주목받고 있는 반기문 유엔사무총장의 대망론이 탄력을 받기 시작했다.
이날 전대에서 당 대표는 친박 핵심 이정현 후보가 당선됐다. 최고위원 5명 중 강석호 후보를 제외한 조원진, 이장우, 최연혜, 유창수 후보도 친박계로 평가되면서 6명의 신임 당 지도부 중 5명이 친박으로 구성됐다.
친박 지도부가 꾸려진 만큼 청와대와 친박계의 대선 구상에도 탄력을 받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그간 여권 유력 대선주자 중 이렇다 할 만한 친박계 인물이 없다는 평가 아래 친박계는 꾸준히 반 총장 영입을 희망해왔다.
특히 박근혜 대통령의 복심이라고 불리는 이정현 대표 체제가 만들어진 만큼 새 지도부가 앞으로 반 총장이 당에 착근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지 않겠느냐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일각에서는 반 총장의 출신지인 충청과 이 대표의 지역인 호남, 새누리당의 핵심 기반인 대구·경북으로 '삼각구도'를 형성, '반기문 대망론'이 확산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하고 있다.
신임 최고위원으로 선출된 충청 출신 이장우 후보는 지난 5일 "이제는 우리 충청도도 대통령을 만들어야 된다"며 "충청 대망론을 키우겠다. 충청의 대통령을 배출하는데 앞장서겠다"고 했다.
반면 이번 전대에서 비박계 주호영 후보를 '대놓고' 지원한 김무성 전 대표는 상대적으로 대선 가도에 '빨간불'이 켜졌다는 평가다. 전대 막판 주호영 공개 지지에 나섰던 오세훈 전 서울시장도 궁지에 몰리게 됐다.
아울러 비박계 당권 장악을 묵시적으로 응원했던 남경필 경기지사와 원희룡 제주지사 등도 이번 전대 결과를 놓고 유탄을 맞았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