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요주간=최종문 기자] 졸음운전으로 인한 사건·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28일 당정이 대책 마련 협의에 나섰다.
이날 더민주당과 정부는 오전 국회에서 만나 졸음운전 사고의 근본적 문제를 확인하고 대책 마련을 위한 협의에 돌입했다.
김태년 민주당 정책위의장은 “전체 차량 중 약 6%에 불과한 사업용 차량이 (전체 사망 교통사고의) 20%의 사망자를 발생시킨다”며 “특히 지난해 봉평터널 사고, 최근 경부고속도로 버스사고는 교통안전에 대한 국민 불안감을 증폭시켰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사고의 직접 원인은 졸음운전이지만, 그 바탕에는 과로에 시달리는 등 운전자의 열악한 근로여건이 있다”면서 “근본적인 문제를 고민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 했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우리나라 교통안전지표는 OECD 중 32위로 최하위권”이라면서 “최근 발생한 졸음운전 사고 원인의 이면에는 근로여건, 안전관리 부실, 도로인프라 부족 등의 문제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김 장관은 “이에 정부가 인명피해가 발생치 않도록 대책을 마련했다”면서 ▲운전자의 적정 휴식 보장을 위한 근로여건 개선 ▲안전장치 장착 탑재를 통한 사고 예방 ▲휴게시설 확충 등 안전한 환경 조성 등을 발표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저작권자ⓒ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